목차
서문 | 100년 전의 특파기자

서장 | 문인·언론인·논객 이광수
남북한 일본 미국의 연구
가난, 병마, 탄압과의 싸움

1장 상하이 거쳐 치타에서 잡지편집
일본 유학 후 오산학교 교사
다이세이중학, 메이지학원 졸업
최남선 홍명희와의 우정
해외 방랑, 대한인정교보 주필
상하이 러시아에서 만난 사람들
연해주와 미주의 교포신문
필사 석판인쇄 월간 정교보
국어와 한글 사랑
정교보에 실린 이광수의 글
풀어쓰기 한글인쇄 혁신 시도
키릴문자 차용 필기체 고안
애국정신의 근본은 국사와 국문

2장 매일신보 소설 논문 기행문
와세다대학 유학과 글쓰기
미국행 포기 귀국 국내체류
「동경잡신」 기고
「농촌계발」과 소설 「무정」
매일신보-경성일보 특파기자
「오도답파여행」 두 신문 게재
「개척자」와 「신생활론」
폐병 발병을 안타까워하는 최남선
베이징 순천시보 교섭
2·8독립선언문 기초
도쿄 유학생들의 독립운동
도쿄에서 상하이로 탈출
국내의 지하신문들

3장 상하이 독립신문 사장
독립운동 선전 활동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
한일관계사료집 편찬
이광수와 주요한
조동호, 차이석, 박현환, 김여제
경영난, 과로, 영양부족
사장 겸 주필로 논설 집필
죽여야 할 친일파들
미주 교포와 독지가의 성금
좌절, 귀국
네 차례 정간과 『신대한』 출현
개인적 고뇌
통치 거부, 평화적 전쟁

4장 논객 소설가
아니 쓰지 못하는 심정
「소년에게」와 「민족개조론」
허명의 해외 독립운동가 비판
개혁 커뮤니케이션 이론
“춘원 일생일대의 역작”
동아일보 논설기자의 필화
편집국장 두 차례
「민족적 경륜」 필화
합법적 타협적 민족운동
병고와 탄압 속에서
동아일보 퇴사-편집국장 복귀
척추 수술, 신장 수술, 각혈
흥사단 잡지 『동광』
편집국장 시기의 정간

5장 민중 속으로 문화운동
이순신장군 유적보존
조선의 노래 현상모집
편집국장의 현지취재
‘슬픈 이순신의 일생’ 소설
브나로드 운동
총독부의 조선어 말살정책
금지된 ‘글장님 없애기 운동’
학생 계몽대, 강연대, 기자대
농춘계몽 문자보급
농촌계몽 소설 「흙」
계몽운동대로 명칭 변경
교재 한글공부, 일용계수법
총독부 방해로 중단

6장 조선일보 부사장
사장 방응모의 혁신작업
조선일보 증축, 증액, 증면
평안도 중심 인재 영입
시간 여유, 경제적 안정
부사장 편집국장 학예부장 겸직
지면혁신, 내용혁신
편집국 조직혁신
편집간부와 총무국의 갈등
신문사 사퇴, 편집고문
돌연한 사임
아들의 죽음, 건강 악화
조선일보 편집고문

7장 이광수의 언론사상과 역사관
신문기자의 보람과 자질
언전-말의 싸움
우리말과 한글 사랑
단군, 세종대왕 소설 계획
친일의 길에 들어서다
흥사단-동우회 주모자로 피검
징역 5년에서 무죄로
긍정과 부정 끝없는 논란

춘원 이광수 언론활동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