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제1부. 국어 교육 문법 교육의 이해

제1장. 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의 성격
1.1. 국어과의 성립
1.1.1. 국어와 한국어
1.1.2. 언어
1.1.2.1. 언어의 특성
1.1.2.2. 언어의 기능
1.1.2.3. 언어 사용 기능
1.1.3. 한국어로써의 국어과의 성립
1.1.4. 국어과의 특성
1.1.4.1. 일반적인 특성
1.1.4.2. 초등 국어과의 특성
1.1.5. 국어 교육, 국어과 교육, 문법 교육
1.2. 문법과 문법 교육
1.2.1. 문법의 개념과 연구 범위
1.2.1.1. 문법의 개념
1.2.1.2. 문법 연구의 범위
1.2.2. 교육 문법의 개념과 범위
1.2.2.1. 교육 문법의 개념
1.2.2.2. 교육 문법의 범위
1.2.3. 문법의 교육적 가치
1.2.3.1. 기반 지식적 관점
1.2.3.2. 독자적인 관점
1.2.3.3. 포괄적인 관점
1.3. 교육 문법의 성격과 국어과의 성격
1.3.1. 교육 문법의 성격
1.3.1.1. 공동체 의식 형성의 수단
1.3.1.2. 기능 신장의 기반 지식
1.3.1.3. 탐구적 사고력 신장의 수단
1.3.2.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성격 이해

제2장.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문법 교육의 목표
2.1. 국어과 교육의 상위 목표
2.1.1. 교육과정의 국어과 상위 목표
2.1.2. 국어과의 상위 목표 재설정
2.1.3. 국어과의 상위 목표와 사고력
2.2. 국어과의 영역 체계
2.2.1. 국어과의 영역 체계 수립
2.2.2. 교육과정 목표 기반의 영역 체계
2.3. 문법 교육의 목표와 국어과의 교과 목표
2.3.1. 문법 교육의 목표
2.3.2. 국어과의 교과 목표

제3장. 국어 교육 문법 교육의 원리
3.1. 사고성의 원리
3.1.1. 문장의 유형
3.1.2. 소리와 표기의 관계
3.1.3. 품사
3.1.4. 그 밖
3.2. 도구성의 원리
3.2.1. 문장의 접속
3.2.2. 텍스트 문법
3.2.3. 문장 구성과 호응
3.3. 문화성의 원리
3.3.1. 어휘
3.3.2. 관용 표현
3.3.3. 그 밖

제2부. 국어 교육 문법 내용의 이해

제4장. 교육 문법 내용 연구 방법
4.1. 체계 중심적 접근법
4.1.1. 체계 중심적 접근의 필요성
4.1.2. 체계 중심적 접근의 현황과 한계
4.2. 자료 중심적 접근법
4.2.1. 자료 중심적 접근의 필요성
4.2.2. 교육용 말뭉치와 오류 분석
4.2.2.1. 교육용 말뭉치의 의미
4.2.2.2. 학습자 오류 분석의 의미 및 방법
4.2.2.3. 학습자 오류 분석의 한계

제5장. 교육 문법의 내용 체계
5.1. 문법의 가치에 따른 내용 체계
5.1.1. 기반 지식적 관점과 내용 체계
5.1.2. 독자적 관점과 내용 체계
5.1.3. 포괄적 관점과 내용 체계
5.2.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5.3. 교육 문법의 내용 체계 재수립

제6장. 교육 문법의 내용
6.1. 성취 기준 연계 방식
6.2. 성취 기준의 학년별 분포 양상 및 특징
6.2.1. ‘언어의 본질’ 범주
6.2.2. ‘국어의 특질’ 범주
6.2.3. ‘국어의 변천’ 범주
6.2.4. ‘국어 및 국어 생활 태도’ 범주
6.2.5. ‘국어 구조’ 범주
6.2.5.1. ‘음운(낱자 포함)’ 부문
6.2.5.2. ‘단어’ 부문
6.2.5.3. ‘어휘’ 부문
6.2.5.4. ‘문장’ 부문
6.2.5.5. ‘문법 요소’ 부문
6.2.5.6. ‘의미’ 부문
6.2.5.7. ‘담화/글’ 부문
6.2.6. ‘국어 규범’ 범주
6.2.6.1. ‘표기법’ 부문
6.2.6.2. ‘표준말’ 부문
6.2.6.3. ‘바른 문장 사용’ 부문

제3부. 국어 교육 문법 교재와 교수·학습의 이해

제7장. 문법 영역 내용의 교과서 실행 유형
7.1. 내용의 삭제
7.2. 내용의 확대와 축소
7.3. 내용의 통합
7.4. 내용의 전이

제8장. 문법 영역 내용의 단원 실행
8.1. 국어 교과서 체제
8.2. 단원 구성 체제
8.2.1. 단원의 외적 구성
8.2.2. 단원의 내적 구성
8.3. 성취 기준의 단원 실행 양상 및 유형
8.3.1. 주제·영역 통합형 단원 구성
8.3.1.1. 분권형 교과서의 문법 영역
8.3.1.2. 통권형 교과서의 문법 영역
8.3.1.2.1. 성취 기준의 단원 배정 현황
8.3.1.2.2. 성취 기준의 단원 실행 현황
8.3.2. 분리·독자형 단원 구성

제9장. 교육 문법 교재 구성의 원리
9.1. 과정성의 원리
9.2. 맥락화의 원리
9.3. 실제성의 원리
9.4. 초점화의 원리
9.5. 위계성의 원리
9.6. 통합성의 원리

제10장. 교육 문법 교수·학습 방법
10.1. 지식관의 변화와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10.1.1. 지식관의 변화
10.1.2.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10.2. 문법 교육의 성격과 탐구
10.2.1. 문법 교육의 성격
10.2.2. 문법 교육과 탐구
10.2.2.1. 탐구, 내용 그리고 방법
10.2.2.2. 문법, 내용 그리고 재료
10.3. 문법 교재와 교수·학습 방법
10.3.1. 문법 교재와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
10.3.1. 문법 교재와 교수·학습 방법의 지향

제4부. 국어 교육 문법 기술의 탐색과 확장

제11장. 문장 유형의 교육 문법
11.1. 교육과정의 문장 유형 기술 양상 분석
11.1.1. 문장 유형 내용 구성 현황
11.1.2. 문법 교육의 목표와 문장 유형
11.2. 문장 유형 교육 문법 기술의 탐색
11.2.1. 내용에 대한 이해
11.2.2. 내용 진술 방식
11.3. 용어 사용의 문제

제12장. 텍스트 갈래 지식의 교육 문법
12.1. 텍스트의 의미와 국어 교육
12.1.1. 텍스트의 국어과 교육적 의미
12.1.2. 텍스트의 개념과 텍스트의 특성
12.1.2.1. 텍스트의 개념
12.1.2.2. 텍스트의 특성과 국어교육
12.1.2.3. 텍스트의 특성과 다시 텍스트의 개념
12.2. 텍스트의 기능과 텍스트 갈래의 의미
12.2.1. 텍스트의 기능
12.2.2. 텍스트 갈래의 의미와 국어 교육적 함의
12.3. 텍스트 갈래와 종류
12.3.1. 텍스트 갈래 제시 양상
12.3.2. 텍스트 갈래 선정의 원리
12.3.3. 텍스트 기능에 따른 텍스트 갈래와 종류
12.4. 텍스트 갈래 지식과 그 범주
12.4.1. 텍스트 갈래 지식의 의미
12.4.2. 텍스트 갈래 지식 범주
12.4.2.1. 범주 설정 과정
12.4.2.2. 텍스트 갈래 범주
12.4.2.2.1. 텍스트 갈래의 맥락
12.4.2.2.2. 텍스트 갈래의 구조
12.4.2.2.3. 텍스트 갈래의 내용 범주
12.4.2.2.4. 텍스트 갈래 표지
12.4.2.2.5. 텍스트 갈래의 의미

제13장. 미디어 문식성의 교육 문법
13.1. 매체와 미디어의 개념 탐색
13.2. 이른바 매체언어의 개념 논의
13.2.1. 음성·문자로써의 언어관
13.2.2. 확장적 기호로써의 언어관
13.2.3. 확장적 매체로써의 언어관
13.3. 대안으로서의 미디어 문식성
13.3.1. 미디어 문식성의 개념
13.3.2. 미디어의 특성
13.3.2.1. 미디어의 측면
13.3.2.2. 정보(텍스트)의 측면
13.3.2.3. 발신자·수신자의 측면
13.4. 인터넷 언어의 국어과적 수용
13.4.1. 언어적 의사소통 발달 양상
13.4.2. 미디어 문식성 교육의 수용 방향

제14장. 문법과 읽기 교육의 융합
14.1. 문법 이해와 읽기 능력
14.2. 맥락과 의미 구성 행위로서의 읽기
14.3. 텍스트 문법과 의미 구성 행위로서의 읽기
14.3.1. 텍스트 기능과 읽기
14.3.2. 텍스트 구조와 읽기
14.3.3. 텍스트 구조의 내용 범주와 읽기
14.3.4. 텍스트 구조 표지와 읽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