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 4

1. 서론 … 15
1.1. 연구 목적과 대상 … 15
1.2. 주요논의 및 방법론 … 16
1.3. 선행연구와 본서의 방향 … 20
1.3.1. 감동법 … 20
1.3.2. evidentiality, mirativity … 23
1.3.3. 감동법 ‘?것다’와 비존칭의 ‘?거시니’ … 25
1.4. 인용 자료 … 26

2. 복수표지 ‘?ㅅ/옷²?’ … 31
2.1. ‘?ㅅ?’의 복수성 … 31
2.1.1. 의문형 ‘??다’ … 32
2.1.2. 명령형 ‘?아/어?라’, ‘?거?라’ … 36
2.1.3. 1인칭 ‘?소?’[?ㅅ?오?] … 38
2.1.4.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45
2.1.5. 일부 청유형들과의 관계 … 48
2.1.5.1. ‘?쟈?라’ … 48
2.1.5.2. ‘?사?다’ … 50
2.2. 1인칭 ‘?오소?’[?옷?오?]의 복수성 … 51
2.2.1. ‘?다소?’ … 53
2.2.1.1. 한글 자료 … 53
2.2.1.2. 음독구결 자료 … 57
2.2.1.3. 直指寺 소장 법화경의 특수성 … 63
2.2.2. ‘?과소?’, ‘?아소?’ … 67
2.2.3. ‘?노소?’[???옷?오?] … 70
2.2.3.1. 음독구결 자료 … 71
2.2.3.2. 한글 자료 … 80
2.3. “도소”의 이질성 … 85
2.4. 소결: “감동법” 체계 다시 정리 … 93

3. 감동법 ‘?돗/옷¹?’의 용법 … 97
3.1. mirativity marker로서의 감동법 … 98
3.1.1. 종래의 문제점 … 98
3.1.2. 핵심적 의미·기능 … 99
3.1.3. 증거성과의 관계 … 104
3.1.4. 현대어의 mirativity 표현들 … 106
3.2. ? 내적 감각 … 109
3.2.1. 기본적인 용법 … 109
3.2.2. ‘알리로소녀’, ‘엇더?도소뇨’ … 111
3.2.3. ‘? ?리로다’ … 116
3.3. ?′ 일치·식별·同定·평가 … 120
3.3.1. ?′?1 원했던 대상을 찾아냄 … 120
3.3.2. ?′?2 식별, 同定 … 126
3.3.3. ?′?3 평가 … 131
3.3.3.1. 품평·인물평 … 132
3.3.3.2. 사건·상황에 대한 평가 … 136
3.3.3.3. ‘(어루) ~라 니?리로다’ … 138
3.4. ? 지각 경험에 수반된 깨달음 … 140
3.4.1. 기본적인 용법 … 140
3.4.2. 뛰어난 지각 능력 … 143
3.5. ?′ 추리/추론과 인식 양태 … 145
3.5.1. 기본적인 용법 … 145
3.5.2. 뛰어난 추리 능력 … 148
3.5.3. ?′?1 확실성 ‘(?다?/반?기) ?돗/옷¹?’ … 151
3.5.4. ?′?2 가능성 ‘(시혹) ?리롯?’ … 155
3.5.5. ?′?3 과거의 가능성 ― 反實假想 ‘V/A?리랏다’ … 159
3.6. ? 주관적·개인적 감각 … 165
3.6.1.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167
3.6.2. ??2 인정과 양보 … 169
3.6.3. ??3 확인과 의문 … 171
3.6.4. ??4 잘 몰랐던 척 ― “정보 관할권”과의 상호작용 … 174
3.6.4.1. 책임 회피 … 176
3.6.4.2. 정보 강자에 대한 공손성 … 180
3.6.4.3. 떨어지는 신빙성 … 182
3.7. ?′ 객관적·논리적 도출 … 184
3.7.1. 수량의 계산 … 185
3.7.2. “?ㄴ 셈이다” … 187
3.7.3. “?ㄹ 터이다” … 191
3.7.4. ?′?1 “(이맘때면/그때쯤엔) ?ㄹ 터이다” … 194
3.7.5. ‘~?(?오?) 알리로다’ … 195
3.8. ? 이해·해석·납득과 내재화 … 199
3.8.1. 기본적인 용법 … 201
3.8.1.1. 항구적인 본질·원리·원칙의 이해 … 201
3.8.1.2. 인과관계를 해석함 … 202
3.8.1.3. 진의를 해석함 … 205
3.8.1.4. 하나의 줄거리로 해석함 … 207
3.8.2. 과거에 대한 깨달음 ‘V/A?닷다’ … 209
3.8.2.1. ‘?닷다’, ‘?다??다’ … 209
3.8.2.2. ‘?다?니’ … 213
3.9. ‘V?돗더라’와 ‘V?돗던고’ … 214
3.9.1. 과거의 지각 경험 ‘V?돗더라’ … 215
3.9.1.1. 기본적인 용법 … 216
3.9.1.2. 1인칭의 대상화 … 219
3.9.1.3. 제삼자의 깨달음 … 220
3.9.1.4. ?두시언해?와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222
3.9.2. 의아스러워 함 ‘V?돗던고’ … 230
3.9.2.1. ‘V?던고’ … 230
3.9.2.2. ‘V?돗던고’ … 233
3.10. 1인칭 주어의 감동법 … 238
3.10.1. [?돗?오?]의 可否 … 239
3.10.2. 의미적 특수성 … 240
3.10.3. 자료의 검증 … 242
3.10.4. ‘?돗/옷¹?’과 ‘?오?’의 계열관계 … 251

4. ‘?것다’, ‘?거시니’, ‘?거시?다’ … 255
4.1. ‘?거?’의 의미·기능 … 259
4.2. ‘?것다’[?거?옷¹?다] … 266
4.2.1. ‘?거다’와의 대비 … 266
4.2.2.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74
4.2.3. 상황의 자연발생적 변화에 대한 깨달음 … 278
4.2.4.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 283
4.2.5.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284
4.3. ‘?거시니’[?거?옷¹?니] … 287
4.3.1. ‘?것다’ 및 ‘?돗/옷¹?’과의 동질성 … 288
4.3.1.1.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88
4.3.1.2. ? 내적 감각 … 289
4.3.1.3. ?′(?) 식별 … 290
4.3.1.4. ?′ 객관적·논리적 도출 … 291
4.3.1.5. ?′?1 “(이맘때면/그때쯤엔) ?게 됐을 터이다” … 295
4.3.2. ‘?거니’와의 대비 … 297
4.3.2.1. ‘?거니, [수사의문문]’ … 299
4.3.2.2.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 … 305
4.3.2.3.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감사) … 317
4.3.2.4. ??3a 사실의 확인과 그것에 대한 의문 … 319
4.3.2.5. ??3d 따짐과 힐문 … 321
4.4. ‘?거시?다’[?거?옷¹???다] … 329
4.5. 소곡본 ?능엄경?의 ‘?????(것이니)’ 표기 … 332
4.6. ‘?거시며’[?거?옷¹?며]의 존재 … 336
4.7. ‘?거샷?’[?거?시?옷¹?]과 그 誤記 … 342
4.8. ‘?앗?’[?아?옷¹?], ‘?아샷?’[?아?시?옷¹?] … 350
4.8.1. ‘?앗다’, ‘?아샷다’ … 351
4.8.2. ‘*?아?니’, ‘?아샤?니’ … 354
4.8.3. ‘?아??다’ … 356
4.9. “?거?(H!) + ?옷¹?(H) → ?것?(H)”의 성조 변화 … 358
4.10. ‘?거시니’와 ‘?가시니’의 교체 … 362
4.11. ?번역노걸대?의 ‘?거니’와 ‘?거시니’ … 365
4.11.1. ‘?거니’ … 365
4.11.2. ‘?거시니’ … 371

5. 특수화와 변화 … 375
5.1. ‘?샤소?’의 특수성 … 375
5.2. ‘?놋도다’, ‘???다’, ‘???다’, ‘??도다’ … 380

6. 결론 … 385

참고문헌 … 398
<부록 1> 형태별 정리 및 본서에서의 참조 위치 … 409
<부록 2> 본서의 개요와 전체 흐름 소개 … 412
찾아보기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