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지명과 역사
두모계 고지명(古地名)의 기원과 분포 | 남영우
추가령(楸哥嶺)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 이민부·전종한
지명 변천 요인의 지역적 함의(含意) - 16세기 이후 대전 지방의 한자 지명을 사례로- | 김순배
≪청구도(靑邱圖)≫와 ≪동여도(東輿圖)≫의 지명 위치 비정에 대한 일고찰
- 충청도의 해미현을 사례로- | 이기봉
2부 지명과 문화
영남 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사례 - | 박태화
지명에 나타난 지역 문화 | 이혜은
한국 전통숲[林藪]의 지명에 관한 연구 | 장동수·김학범
지명의 사회적 구성 - 조선 시대 회덕현의 ‘송촌(宋村)’을 사례로 - |권선정
조선 말기 농작물 관련 마을명의 분포와 특성 | 정치영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문화지명의 유래와 특성 | 이영희
3부 지명과 사회
정치지리학적 시각으로 본 동해(東海) 지명 | 임덕순
‘동해(東海)’ 지리 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 이기석
동해(東海) 지명과 조선 시대의 고지도(古地圖) | 양보경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명 분석 | 오상학
지리과 내용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 장의선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 김종혁
우리나라 일본식 지명의 관리와 정비 방안 연구
- 경기도 여주군 산지 지명을 사례로 - | 김기혁·심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