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경성 모더니즘론
1. 경성과 모더니즘의 이율배반
2. 제국 공간과 식민지 소설의 지형도
3. 식민지 근대화와 경성 모더니즘

제2장 경성의 도시구역 분화와 소설의 재현양상
1. 일상공간(북촌)과 리얼리즘: 『천변풍경』
2. 공적 공간(서촌)과 알레고리: 「윤초시의 상경」, 「애욕」
1) 사라진 공간지표와 방향 상실: 「윤초시의 상경」
- ‘서대문정2정목 34번지’
2) 대한제국의 흔적과 공간 선택의 문제: 「애욕」
- ‘인사동 119번지’
3. 이역공간(남촌)과 불완전한 재현: 『금은탑』
4. 배후공간(용산)과 우회적 서술: 「피로」, 「길은 어둡고」

제3장 식민지 도시의 산책자와 정치적 무의식
1. 식민지 산책자의 아나키즘적 욕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2. 서대문형무소 에두르기: 『낙조』, 「최노인전 초록」
3. 밤의 산책자와 억압된 꿈의 기억: 『적멸』
4. 경성의 배후와 통속 연애소설의 이면: 『청춘송』

제4장 대경성 확장과 소설적 대응
1. 공간재편과 미완의 기획: 『애경』
2. 식민자본과 악순환의 서사: 『사계와 남매』

제5장 세계문학 속 경성 모더니즘의 의의와 과제

보론 경성의 모더니스트, 박태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