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제2장 윤석중의 생애
1. 출생
1) 윤석중의 가계 / 2) ‘고아 아닌 고아’의 비애
2. 문학적 출발기의 문단 배경
1) ‘천재 소년 시인’의 탄생 / 2) 스승 방정환과 『어린이』지 / 3) ‘기쁨사’ 조직과 학창 시절
3. 최초의 동요집 간행과 『소년』 시대
1) 신흥아동예술연구회의 기획과 좌절 / 2) 『어린이』지에서 『소년』지까지의 행보 / 3) 일제 말기의 시대 조건과 문학적 대응
4. 해방기의 문화운동과 문학 활동
1) 을유문화사 활동과 『소학생』 시대 / 2) 분단 이후 문단 재편 과정과 문학 활동
5. 6·25전쟁의 상흔과 극복
1) 전란이 끼친 상흔 / 2) 50년대 문단 지형과 윤석중의 대응 방식 / 3) 4·19혁명과 윤석중의 대응 방식
6. 문화운동의 확대와 문학 활동의 퇴보
1) 새싹회 활동과 문화 운동의 전략 / 2) 70년대 이후 작고까지의 문학적 행보

제3장 윤석중의 문학 세계
1. 윤석중 문학의 다양성과 연속성
2. ‘동요’라는 장르와 윤석중 문학
1) 동요를 보는 시각, 윤석중을 보는 시각 / 2) ‘가창’이라는 제시형식과 윤석중 동요의 기반 / 3) 윤석중 동요의 자질
3. 윤석중 문학이 추구한 아동상(兒童像)
1) 윤석중과 동심주의 / 2) 윤석중 작품에 나타나는 아동상
4. ‘국민애창동요’로서의 성격과 부성콤플렉스
1) 부성콤플렉스와 ‘조그만 아버지’ 되기 / 2) 조그만 아버지 되기와 ‘명랑한 아이’와의 연관성 / 3) 부성콤플렉스의 소멸과 재생

제4장 윤석중의 문학사적 위치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_1. 윤석중 생애 연보 / 2. 윤석중 작품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