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허균과 함께 한 공부길에서 ㆍ 3

총 론 ㆍ 11
17세기의 새로운 교양인 허균 13
1. 혁명가로서의 허균 13
2. 교양인으로서의 허균 17
3. 새로운 교양인의 탄생 25

제1부 독서와 우정 ㆍ 29

독서광 허균, 그 책읽기의 위험함 31
1. 허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31
2. 독서광, 그 화려한 이력 34
3. 맛보기와 책읽기, 그리고 섬세한 조화 39
4. 중심의 해체 혹은 중심 없는 중심 43
5. 내 방식대로 글쓰기: “허균의 시라고 불리고 싶다” 50
6. 창조, 목숨을 건 모험 59
허균의 우정론과 그 의미 64
1. 장유유서와 붕우유신 64
2. 허균 우정론의 문학적 형상화의 몇 가지 양상들 67
3. 허균 우정론의 성격과 의의 88
4. 관념적 차원의 우정에서 신체적 차원의 우정으로 92
조선중기 고문의 소품문적 성향과 허균의 척독 95
1. 조선중기 고문 창작의 새로운 변화와 허균 95
2. 척독의 소품문적 성향에 대한 허균의 인식 99
3. 허균 척독의 서술 특징과 그 의미 103
4. 허균의 척독: 조선후기 산문의 새로운 전개 123

제2부 허균 네트워크 ㆍ 127

17세기 전반 북인계 지식인들의 학문 경향 129
1. 허균 학맥學脈 연구와 그 동안의 사정 129
2. 17세기 전반 북인계北人系 지식인의 지형도 133
3. 박학풍의 학문 경향과 새로운 학문에 대한 호기심 137
4. 중국 인식의 새로운 변화 139
5. 조선후기로 넘어가는 문턱들 142
허균의 문화적 토대와 독서 경향 144
1. 허균의 독서 문화와 서음書淫 144
2. 사장파의 학문적 연원과 허균의 문화적 토대 147
3. 허균의 독서 경향과 사장파의 변모 150
4. ‘책’의 의미 156
허균의 불교적 사유의 형성과 「산구게山狗偈」 161
1. 허균의 불교에 대한 생각 161
2. 허균의 불교적 사유의 형성 162
3. 「산구게」에 나타나는 주체와 타자의 혼효 양상 172
4. 허균 사유의 모호성 187
허균 장서의 행방과 유재 이현석 190
1. 17세기에 대한 관심 190
2. 이현석의 독서 경향과 시 세계 192
3. 다시 사장학詞章學의 전통을 생각한다 205

제3부 문화와 허균 ㆍ 207

허균의 미각적 상상력과 『도문대작』 209
1. 1610년 겨울 209
2. 함열로 귀양을 가게 된 사연 211
3. 『도문대작』의 구성과 음식 문화의 양상 220
4. 미각적 상상력과 그의 문학론 250
17세기 시가의 향유 방식과 허균의 문학 254
1. 17세기 시가의 연행과 음악사 254
2. 17세기 음악사의 변환과 허균 기록의 맥락 256
3. 허균의 기록에 나타나는 유흥의 모습 259
4. 17세기 시가의 향유 방식과 연희 공간의 구성 275
허균의 강원도 인식과 민속문화론 277
1. 허균의 강원도: 민속문화론의 출발점 277
2. 허균의 강원도 인식 280
3. 허균의 민속관 288
4. 허균의 민속관과 지역 문화 304

허균 연보 ㆍ307
미 주 ㆍ 313
찾아보기 ㆍ 351
논문출처 ㆍ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