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고전소설의 존재 양상
傳奇小說의 장르개념과 장르史의 문제
고전소설의 現實性과 浪漫性 문제
金時習의 世界認識과 『金鰲新話 』
17세기 夢遊錄의 歷史的 性格
<黃陵夢還記>에 대하여

제2부
<홍길동전>의 生成과 流傳
<朴氏傳>의 제 특성과 형성 배경
<九雲夢>의 主題와 그 受容史
長篇 家門小說의 成立과 存在樣態
國文 長篇小說의 형성과 家門小說의 발전
조선 후기 長篇小說의 한 양상
- <衛氏賢行錄>과 <取勝樓> -

제3부
18세기 소설의 발달과 文體反正
조선 후기의 小說論
- 19세기 필사본 소설의 序·跋을 중심으로 -
19세기 漢文 長篇小說의 創作 基盤과 作家意識
<三韓拾遺>에 나타난 烈女의 形象
沈能淑의 생애와 문학
<六美堂記>의 作者 再論

제4부
판소리史의 전개와 몇 가지 쟁점
조선 후기 寓話小說의 現實 反映
중세 해체기 소설에 나타난 賤妾의 形象
애국계몽기 창작 고전소설의 한 양상
애국계몽기 고전소설의 역사현실 대응
- <鄭氏福善錄>과 <晩河夢遊錄> -
근대 전환기 고전소설 수용의 역사성
- 식민지시대 활자본 고전소설 수용의 역사적 의미 -

제5부
한국 고전소설에 미친 中國 小說의 영향사
- 그 양상과 연구 현황 -
東아시아 漢文小說과 自國語小의 관계
韓國漢文小說硏究的成果和現況
남북한 고전소설 연구의 쟁점과 전망
한국 고전소설 英譯의 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