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골목길 역사산책
진경시대 | 신진경시대 | ‘역사산’책

1.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
부암동―세속을 잊은 산속 별천지

부암동 사람들―이상향을 꿈꾼 사람들
못다 이룬 꿈, 몽당붓에 실어 펼치다: 추사 김정희 | 나는 대한의 명필이로소이다: 소전 손재형

부암동 산책―무릉도원길
신선의 별장에 둥실 뜬 보름달: 석파랑 | 저문 강에 칼을 씻고: 세검정 | 북악산 기슭 신선이 노닐던 곳: 유당 김노경 별서 터 | 태양 아래 그들처럼: 라 카페 갤러리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환기미술관 | 신선이 노니는 별서: 삼계동산정 석파정 | 무릉도원 계곡: 무계정사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로

2. 정동 역사길 산책
정동―세우고 빼앗기고 되찾은 나라

정동 사람들―삶으로 역사를 쓴 사람들
임시정부 지킴이: 백범 김구

정동 산책―역사길
70년 대역사: 서울주교좌성당 | 비겁한 임금, 의로운 백성: 경운궁 | 인재를 기르는 집: 배재학당 | 배꽃 핀 언덕: 이화학당 |
언덕 밑 하얀 교회당: 정동제일교회 | 헤이그 밀사: 중명전 | 아관파천: 러시아공사관 | 국내 임시정부청사: 경교장

정동 역사길 산책로

3. 북촌 개화길 산책
북촌―고귀한 북리

북촌 사람들―부강한 나라를 만들자
양반자제 일어서다: 고균 김옥균 | 만민이 일어서다: 송재 서재필

북촌 산책―개화길
북학을 넘어 개화로: 재동 백송집 박규수 집터 | 왕립병원: 재동 제중원 홍영식 집터 | 친일매국을 넘어 자주독립으로: 백인제 가옥 | 3.1독립만세운동: 계동 중앙고등학교 | 건축왕 정세권: 가회동 북촌한옥마을 | 맹감사현: 북촌동양문화박물관 | 독립운동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안국동 윤보선 가옥 | 고요히 배우고 즐거이 놀게 하자: 세계 어린이운동 발상지 | 하늘과 한 자 다섯 치: 운현궁

북촌 개화길 산책로

4. 서촌 조선중화길 산책

서촌―군더더기 없이 담백한 마을

서촌 사람들―조선시대 한류 주도자
진경시대: 겸재와 사천 | 조선중화주의: 삼연 김창흡

서촌 산책―조선중화길
하얀 하늘, 파란 바람 그리고 미운 나: 윤동주문학관 | 물소리의 추억: 수성동계곡 | 봄바람 피우는 집: 갤러리 서촌재 | 다시 찾은 우리 얼: 박노수미술관 | 푸른 마음밭: 청전화옥 | 우리 집, 남 커피: 커피숍 서촌산책 | 세상의 중심에서 매국노의 아방궁으로: 송석원 터

서촌 조선중화길 산책로

5. 동촌 문화보국길 산책

동촌―힘든 시절 살아 견디어낸 곳

동촌 사람들―나라 잃은 개화파
물처럼 흘러서 맘껏 푸르다: 간송 전형필 | 절필 낙향하여 모진 세상 견디어내다: 상허 이태준

동촌 산책―문화보국길
포목시장을 열어 나라를 지키다: 흥인지문 | 내 이름은 명품: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문화보국 보화각: 간송미술관 | 동산에서 본 동서울: 창신동 | 정겨운 우리 동네: 이화 벽화마을 | 편안한 낙타 등허리: 낙산공원 | 다시 찾은 조선집: 수연산방

동촌 문화보국길 산책로

결론: 나는 역사를 걷는다
조선 사람, 청나라를 걷다 | 한국 사람, 역사를 걷다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