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책머리에 _ 성공한 책 《논어》, 실패한 인생 공자

[1부] 학인(學人)의 길

1장. 학문의 즐거움

* 학이시습 : 학문은 해서 어디에 쓰겠는가?
* 십오지학 : 인생 역전의 길, 학문
* 우도불우빈 : 가난을 걱정하지 말고 도를 행하라
* 불여호학 : 학문을 즐겨라
- 책 읽은 횟수를 기록한 김득신
* 사해형제 : 세상 사람이 모두 나의 형제이다
- 이덕무와 박제가
* 안빈낙도 : 학문하는 사람이 어찌 가난을 두려워하랴?
- 원교 이광사의 안빈낙도
* 지지위지 :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라

2장. 배움과 가르침

* 인불양사 : 스승과도 다툰다
- 송시열에 맞선 백호 윤휴
* 극기복례 : 사양하는 마음을 잃어버린 사회에
* 속수지례 : 공자대학의 반값 등록금
* 유교무류 : 사람은 누구나 평등하다
- 정약용의 귀천
* 절문근사 : 묻는 것이 학문의 시작이다
- 우리 교육을 망친 두 원흉
- 송시열 중심의 주자학 유일사상 체제
- 대한제국 말기의 사립학교령
* 구진유퇴 : 2,500년 전의 맞춤식 교육법

[2부] 정인(政人)의 길

3장. 1기, 제나라 망명기

* 군자정 : 자신을 닦음으로써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
* 대덕불유한 : 큰 덕이 법도를 넘지 않으면
- 김종서의 삼년상
* 신이후간 : 신뢰를 얻은 후에 간하라
* 오종주 : 나는 주나라를 따를 것이다
- 수양대군의 섭정
* 가정맹호 : 가혹한 정치는 범보다 무섭다
- 정약용의 ‘애절양’
* 군군신신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4장. 2기, 노나라에서 정치를 하다

* 시위대동 : 공자가 꿈꾼 나라
- 정조와 군약신강
* 오장사의 : 내가 네 밑에서 정치할 수 없는 까닭
* 노무습유 : 길가에 떨어진 물건도 줍지 마라
- 조척과 곡비
* 도덕제례 : 모든 잘못은 지배층에 있다
- 공자가 말한 다섯 가지 대악
* 무신불립 : 백성의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
* 필야사호 : 문무를 겸해야 진짜 군자다
- 칼 찬 선비 조식
* 장타삼도 : 삼손씨를 무너뜨려라
* 공자퇴행 : 자의 반 타의 반 망명길
- 중종에게 버림받은 조광조

5장. 3기, 14년간의 천하 주유

* 수무부가 : 내 손에 도낏자루 없으니 떠날 밖에
* 솔피광야 : 광야를 떠도는 혼
- 신라 말 최고의 지식인 최치원
* 회하감사 : 어찌 감히 스승보다 먼저 죽겠습니까?
* 세한연후 : 겨울이 오면
- 추사 김정희와 원교 이광사
* 아대가자 : 나를 사갈 사람이 없는가?
- 조선 개창의 설계자 정도전
* 군자고궁 : 군자는 굶어도 거문고를 탄다
- 세상에서 쓰이지 못할 책을 쓰는 사람, 선비 유수원
* 민무소조수족 : 백성이 어찌 살겠는가?
* 상가지구 : 공자는 상갓집의 개다

[3부] 공자의 꿈

6장. 은둔자들과 함께하다

* 지불가위 : 안 될 것을 알면서도 왜 해야 하는가?
- 안 될 것을 알면서도 하는 사람, 이익
* 부지육미 : 음악에 미쳐 고기 맛을 잃다
* 귀여귀여 : 고향으로 돌아가야겠다!
- 은자 정도전

7장. 공자가 꿈꾼 정치

* 자경구독 : 최고의 의는 백성을 구하는 것
* 덕불고 : 원수를 덕으로 갚지 마라
* 천하삼양 : 권력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마라

[4부] 자연인 공자

8장. 학인으로 돌아오다

* 발분망식 : 밥도 잊고 공부하다
* 인부지불온 :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 지아자천 : 세상은 왜 악인이 성공하는가?
* 사무사 : 《시경》에는 생각의 간사함이 없다
- 정약용의 시론
* 술이부작 : 그대로 전할 뿐 지어내지 않는다
- 이긍익의 역사서 서술방식
* 난신적자구 : 죽음보다 두려운 것은 역사가의 붓이다
* 왕이지래 : 역사는 미래학이다

9장. 공자의 일상

* 오불도행 : 내가 어찌 걸어 다니랴?
* 구장단우몌 : 패션도 실용성을 따져라
* 고주시포불식 : 원산지가 불분명한 것은 먹지 마라
* 사관불면 : 선비는 죽을 때도 갓끈을 고쳐 맨다
* 여시은인 : 공자의 유언, 나는 은나라 사람이다

□ 부록 _《논어》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