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글_서애 유성룡과 전란의 시대

제1부 전란의 시대, 칼끝에 서다
1 도주 길에 오른 선조
2 당쟁의 시대
조선에서 양명학 서적을 처음 접하다
양명학은 왜 비판받았는가?
단숨에 승진한 배경
붕당의 조점
의혹에 쌓인 정여립 사건
3 전란의 그림자
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 의 상반된 보고
수수께끼의 일본 사신 귤강광
교꾼에 목을 벤 종의지
답서를 둘러싼 실랑이
4 유성룡과 이순신
임진왜란 직전의 상황
이순신의 뒤늦은 출사
계속되는 이순신의 불운
5 전란대비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은 사실인가?
진관법으로 돌아가자
6 임진왜란 발발
도체찰사가 되다
무너지는 조선군
운명의 탄금대 전투
패닉 상태의 선조
유성룡 파직되다
7 풍전등화
연전연패
풍원 부원군에 제수되다
평양성 함락되다
무너지는 기강

제2부 통한의 시대, 나라를 다시 세우다
8 반격
계사를 올리다
평양성 수복
배후 차단
삼도 도체찰사
행주대첩과 서울 수복
9 소강상태
강화회담과 유성룡의 반대
서울 수복의 명암
조선과 경략부의 갈들
훈련도감을 설치하다
10 유성룡의 영의정 복귀
양명서를 다시 접하니
경략의 간계와 싸우다
경략 송응창을 실각시키다
11 국방정책
진관체제로 복귀하다
양반도, 천인도 병역의무를 져야 한다
노비 충군에 대한 반발
벼슬길에 나가는 노비들
이몽학의 난
김덕령 연루되다
12 민생정책
대동법을 실시하다
들끓는 반대론
상업을 장려하다
13 정유재란 전야
기축옥사 연루자의 신원을 주장하다
강화교섭
15 정유재란 발발
이순신 제거되다
원균 출진하다
파죽지세의 일본군
반격
조명연합군의 총공세
15 유성룡의 실각
유성룡 공격받다
유성룡이 공격받은 이유
노량해전
16 두문불출

서애 유성룡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