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을 내며

1. 정유재란을 어떻게 볼 것인가_허남린
명분 대 무타협주의|일본군의 ‘복수전’과 조선?명의 격퇴 노력(1597년 7월~1598년 1월)|조선?명의 격퇴 재준비와 일본의 철병 명분 모색(1598년 1~9월)|조선?명 총공세의 허와 실(1598년 9~11월)|전근대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지형의 변모

2. 정유재란 직전 조선의 정보 수집과 재침 대응책_김경태
또 다시 일어난 전쟁|강화교섭 결렬 원인과 통신사의 정보 파악|통신사의 정보 전달|조선의 대응책과 의의|조선의 외교력은 성장하였는가

3. 정유재란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세 판단과 정책_나카노 히토시
‘중국 공략’의 종결|동아시아 패권이 목표|강화교섭 과정|강화교섭의 파탄|게이쵸의 재파병

4. 정유재란 시기 명 조정의 재정 문제_완밍
은의 화폐화, 새로운 관점|전쟁 시기 명나라 재정 지출의 특징|전쟁 시기 명나라 재정 지출 개괄|명 조정의 전시 재정 조달 조치 다원화|전쟁 종료와 사후 처리|전체 전쟁 경비 추산

5. 정유재란 발발 후 명군의 전략과 남원 전투_천상승
들어가며|명조의 대일정책 조정과 전쟁 지휘체계의 중건|명조의 조선 원조 군사전략 구상|남원 전투와 그 실패 원인|마치며

6. 명량해전에 대한 몇 가지 이해의 방향_노영구
명량해전에 대한 그간의 이해를 뛰어넘어|명량해전에 대한 근현대 이해의 흐름|명량해전 직전 정유재란의 국면과 조?일 수군의 동향|명량해전 이후 전라도 지역 국면과 수군의 동향|육군과 수군의 움직임을 함께 보아야

7. 울산성 전투와 울산왜성_나동욱
들어가며|울산성 전투|울산왜성|마치며

8. 고니시 유키나가와 순천성 전투_도리쓰 료지
히데요시의 교섭 창구, 고니시 유키나가|순천 입성|순천성 모습|개전 전야|전투 양상|고니시 유키나가?유정의 화평교섭|일본군의 철수|종전 후 일본 상황

9. 사천왜성을 통해 본 한일관계: 왜성에서 선진공원으로_오타 히데하루
들어가며|사천왜성과 통양창성|사천왜성의 지성과 시마즈군|사천읍성에서 사천 선소로|근대의 사천왜성|현대의 사천왜성|한일관계의 표상, 왜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