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한국전쟁기 언론공보 정책

01 이승만정부의 언론 정책
제1공화국의 언론 통제
전쟁 발발과 언론 정책
언론 통제
언론 탄압과 언론의 대응
냉전반공자유주의 이데올로기 강화

02 제1공화국 초기 공보 활동
공보 활동의 목표
공보처
관민 합동 기구 선전대책위원회
정부의 공보 선전 활동
반공 이데올로기와 반공 독재 체제 강화


2부 한국전쟁기 미디어 현상

03 전쟁 직전 미디어와 사회
신문의 통일문제 보도 태도
통일문제 인식
한계를 보인 언론의 사회적 역할

04 전쟁 보도
전쟁 소식과 보도 채널
전쟁 소식과 대응
단파라디오와 면대면 채널, 공산체제 체험

05 신문의 수난과 임시 수도 부산 언론의 발전
서울의 주요 신문
임시 수도 부산 언론의 발전
전쟁과 부산 언론의 변화

06 국영 중앙방송 운영과 프로그램
중앙방송 운영
중앙방송 프로그램 편성
방송 발전과 미국의 영향

07 출판 · 잡지
전쟁의 시련과 출판
활발한 잡지 발행


3부 미국과 북한의 선전 활동

08 미국의 대한 방송과 심리전
유엔군총사령부 방송
미국의소리 한국어 방송
두 방송의 성격 비교
국영 중앙방송(KBS)과의 관계
남한 청취자의 청취 양상
미국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 형성

09 삐라 심리전
가장 중요한 심리전 매체, 삐라
삐라의 내용과 특징
전쟁의 성격을 보여 주는 삐라 내용과 효과

10 북한의 선전선동 사업
남한 점령 지역 선전선동 사업과 정책
남한 점령 지역 선전선동 사업의 전개
주요 선전선동 사업
북한 선전선동 사업의 성과와 한계

11 북한의 언론 활동
북한의 대남한 언론 정책과 활동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 발행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의 보도 태도
전쟁을 위해 준비된 언론 활동과 한계

12 한국전쟁기 미디어의 역할과 의미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전쟁기 미디어 현상과 특징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전쟁 영향의 극복을 위해

부록 한국전쟁기 미디어 연구 동향
한국전쟁기 미디어 연구의 필요성
이승만정부의 언론공보 정책
미디어 현상 연구
신문의 보도 태도
미국의 언론 정책과 활동
북한의 언론 정책과 활동
1950년대 미국 커뮤니케이션 이론 연구
전쟁기 미디어 현상 연구의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