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일상과 노동, 삶과 죽음의 기원과 세계관
〈세경본풀이〉와 제주도 농업관
1. 서론 = 17
2.〈세경본풀이〉의 통합적 구조 - 이중적 구조 = 21
3.〈세경본풀이〉의 계열적 구조 - 관계의 불안정성 = 26
4.〈세경본풀이〉와 제주도 농업관 - 인위성과 고단함 = 32
5. 결론 = 39
〈바리공주〉와〈차사본풀이〉의 죽음관
1. 서론 = 42
2. 젠더화된 죽음관 = 47
3. 젠더화된 죽음관이 실천, 기대와 순응 = 62
4. 결론 = 68
〈성주풀이〉와〈문전본풀이〉의 가정관
1. 서론 = 71
2. 서사 분석 = 76
3. 생성과 방어의 가정관 = 84
4. 중간지대와 중재자의 부재 = 93
5. 결론 = 98
〈할망본풀이〉와〈문전본풀이〉에서 경합하는 가치의 재현
1. 서론 = 101
2.〈할망본풀이〉와〈문전본풀이〉의 두 주체 = 106
3. 유동하는 경계, 관리되는 위험 = 118
4. 결론 : 경합하는 가치를 재현하는 주체들 = 123

제2부 우습고 무섭고 이상한 옛이야기 해석의 지평
''이항복'' 소화(笑話)의 웃음 기제와 효과
1. 서론 = 131
2. 골탕 먹이기 유형 = 133
3. 재치 있는 말 유형 = 139
4. 이항복 해학의 특수성, 순수한 우스개와 조건부 우스개의 비대칭 = 148
5. 결론 : 사대부 농담과 이항복 농담의 거리 = 153
''자린고비''와 과장담의 웃음 기재와 효과
1. 서론 : ''자린고비'' 설화와 담화 유형 = 159
2. 인색한 인물의 설화와 약호들의 관계 = 162
3. ''자린고비'' 설화의 특성적 약호 = 170
4. ''자린고비'' 설화에서 인식적 약호와 도덕적 약호의 불균형 = 176
5. ''자린고비'' 설화와 과장담의 기호계 = 180
〈아랑전설〉의 서사 구성과 인물 형상에 대한 통시적 연구
1. 서론 = 185
2.〈아랑전설〉의 두 가지 구성 : 사건의 전경화와 해결의 전경화 = 190
3. 아랑 형상의 다양성 = 196
4. 드러나는 범인의 내면과 근대의〈아랑전설〉 = 202
5. 환원 불가능한 이본들 = 208
''두더지 혼인'' 설화에서 해석적 코드의 비교문학적 연구
1. 서론 = 214
2. 인도의〈소녀로 변신한 쥐〉 = 217
3. 한국의〈두더지 혼인〉 = 224
4. 인도와 한국의 해석적 코드 = 231
5. 남은 문제들 = 240

제3부 근대와 현대, 옛이야기 지속과 변모
구술과 기술, 근대와 전통의 만남과『조선기담』
1. 서론 = 247
2.『조선기담』의 전통성과 근대성의 위계적 관계 = 252
3.『조선기담』과 전대 야담의 관계 = 255
4.『조선기담』의 역사 전승과 역사의식 = 266
5.『조선기담』의 혼종성과 위계 = 272
근대 설화집의 여성 형상화와 설화집 편찬자의 존재 방식
1. 서론 = 278
2. 기술된 설화에서 어머니, 선녀, 원혼의 형상화 = 286
3. 장면제시로 드러나는 전통적-반(비)전통적 여성의 내면 = 303
4. 근대 설화 전달자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307
여성적 다시쓰기, 김동환의 전설 개작 양상
1. 서론 = 312
2. 김동환의〈팔도전설순례〉와 선행 텍스트의 관계 = 315
3. 과잉된 감정의 수사와 모호한 역사의 담화 = 321
4. 전설의 젠더화 = 327
5. 여성적 다시쓰기의 효과 = 333
무대에서의 전래동화 구연의 두 가지 방식
1. 서론 = 336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 환경적 지표와 시각적 지표 = 341
3.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 차별적 메타 내레이션 = 346
4. 콘테스트화 - 사랑의 나눔과 전통의 계승 = 358

참고문헌 = 364
찾아보기 =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