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부문법의 경계 넓히기
언어적 장치의 화용적 특징, 공손성
1.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수, 문제의 발견
2. 형태에서 화용으로, 관점의 전환
3. 한국어의 공손성 전달 수단, 그 언어적 장치들
4. 형태로부터 출발한 의미, 활용어미와 공손성
5. 화용적 발상으로의 전환, 이후의 연구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의미 기능 습득
1. 지시어, 멀고도 험한 한국어 학습
2. 한국어 지시의 분류와 지시어의 의미 기능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지시어 사용 양상
5.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사용에 대한 해석
6. 제안과 전망


한국어 부사어 위치에 대한 화용론적 해석과 학습자의 이해
1. 부사어 위치 학습에서 직면한 학습자의 어려움
2. 한국어 부사어의 위치에 나타난 문제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부사어 위치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5. 제안과 전망


직시의 관점에서 본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습득
1. 개념의 시간, 표현의 시제
2. 시제 습득에 대한 연구의 흐름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여부에 따른 시제 인식
5. 담화 주제에 따른 시제 사용
6. 제안과 전망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1. 문법과 화용, 불가분의 관계
2.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들
3. 한국어 양태 표현의 특성
4.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5.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6. 제언과 전망



제2부담화 속에서 담화 바라보기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대용의 응결장치
1. 응결장치, 그 다양한 표정
2. 응결장치에 대한 앞선 연구의 발자취
3. 응결장치 그리고 대용
4.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5. 구어, 문어 텍스트 속 대용의 응결장치
6. 제안과 전망


한국어 학습자 설명 담화에서의 관계적 응집성
1. 담화를 담화답게, 설명되지 않는 문제
2. 응집성의 새로운 시각, 관계적 응집성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관계적 응집성 사용,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간격
5.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6. 제안과 전망



-에필로그
-집필자 소개
-논문 출처
-부록 1: 주요 용어
-부록 2: 담화?화용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