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SPE 이전
1장 음성의 분류 = 3
1.1. 발성기관과 음성형성기구 = 3
1.1.1. 발성기관 = 3
1.1.2. 음성형성기구 = 4
1.2. 주요 범주의 분류 = 5
1.2.1. 분절음과 초분절음 = 5
1.2.2. 모음과 자음 = 6
1.2.3. 음소 = 7
1.3. 모음 = 9
1.3.1. 모음의 분류 = 9
1.3.2. 음장 = 10
1.3.3. 전설모음 = 12
1.3.4. 후설모음 = 13
1.3.5. 중설모음과 2중모음 = 14
1.3.6. 영어 이외의 모음들 = 15
1.4. 자음 = 16
1.4.1. 자음의 분류 = 16
1.4.2. 폐쇄음 = 17
1.4.3. 마찰음과 파찰음 = 19
1.4.4. 비강음, 설측음, 전이음 = 20
1.4.5. 영어 이외의 자음들 = 22
1.5. 강세 = 25
1.5.1. 단어 강세 = 25
1.5.2. 합성어강세와 구 강세 = 27
1.5.3. 문장강세 = 29
1.6. 2차 조음 = 31
1.6.1. 구개음화와 순음화 = 31
1.6.2. 연구개음화, 비강음화, 인강음화 = 32

2장 음소론 = 35
2.1. 음소의 발견 = 35
2.1.1. 음소의 실체 = 35
2.1.2. 음소 설정의 수순 = 38
2.2. 음소의 실체 = 39
2.2.1. 음성적 실체로서의 음소 = 39
2.2.2. 기능적 실체로서의 음소 = 40
2.2.3. 심리적 실체로서의 음소 = 43
2.3. 음소론 비판 = 46
2.3.1. 상보적 분포의 문제점 = 46
2.3.2. 음소 단계의 문제점 = 49

3장 음운과정 = 53
3.1. 음의 자질 변화 = 53
3.1.1. 동화 = 53
3.1.2. 이화 = 57
3.2. 음절구조와 관련된 음운과정들 = 58
3.2.1. 삭제 = 58
3.2.2. 삽입 = 60
3.2.3. 융합과 환치 = 63
3.3. 약화/강화와 중화 = 65
3.3.1. 약화와 강화 = 65
3.3.2. 중화 = 71


제2부 SPE
4장 변별적 자질 = 75
4.1. 자질들 = 75
4.1.1. 하나의 비유 = 75
4.1.2. 대범주를 위한 자질들 = 78
4.1.3. 모음을 위한 자질들 = 85
4.1.4. 자음을 위한 자질들 = 91
4.2. 자질의 타당성 = 95
4.2.1. 문법적 타당성의 세 단계 = 95
4.2.2. 간결성과 평가척도 = 97
4.2.3. 자연부류 = 100
4.3. 자질의 역사 = 104
4.3.1. Trubetzkoy 1939 = 104
4.3.2. Jakobson/Fant/Halle 1952 = 108
4.4. 자질 설정의 기준들 = 110
4.4.1. 2원주의 = 110
4.4.2. 자질의 언어보편성 = 114
4.4.3. 음향적 자질과 조음적 자질 = 115
4.4.4. 그 밖의 문제들 = 118

5장 음운규칙 = 123
5.1. 기본규칙 = 123
5.1.1. 생성문법 안에서의 음운론 = 123
5.1.2. 규칙의 공식화 = 124
5.2. 소괄호, 중괄호 = 129
5.2.1. ( ) = 129
5.2.2. { } = 133
5.3. 상호의존 규칙 = 136
5.3.1. α = 136
5.3.2. 〈 〉 = 141
5.4. 무한 식형, 경상규칙 = 143
5.4.1. C0 = 143
5.4.2. = 145
5.4.3. % = 147
5.5. 변형규칙 = 148
5.5.1. 환치 = 148
5.5.2. 융합 = 149
5.5.3. 복사 = 150
5.6 표기규약의 문제점들 = 152
5.6.1. { } = 152
5.6.2. ( ) = 153
5.6.3. α = 156
5.6.4. % = 157

6장 기저형 = 159
6.1. 기저형의 설정 = 159
6.1.1. 음성단계와 음운단계 = 159
6.1.2. 형태소교체형 이론과 모자이크 이론 = 165
6.1.3. 추상적 기저형 = 169
6.1.4. 기저형 설정의 기준 = 178
6.2. 추상성 논쟁 = 182
6.2.1. 문제의 제기 = 182
6.2.2. 구상적 기저형 : Kiparsky 1968a와 Hooper 1976 = 184
6.2.3. 추상적 기저형 : Hyman 1970, Brame 1972 = 193

7장 잉여성 = 199
7.1. 분절음 잉여성과 배열 잉여성 = 199
7.1.1. 분절음구조규칙 = 199
7.1.2. 배열구조규칙 = 203
7.1.3. 형태소구조규칙의 문제점 = 208
7.2. 유표규약 = 215
7.2.1. 문제의 제기 = 215
7.2.2. 유표규약 = 219
7.2.3. 연결규약 = 234

8장 규칙순 = 237
8.1. 선형규칙순 = 237
8.1.1. 규칙순의 논리학 = 237
8.1.2. 규칙들의 상호작용 = 240
8.1.3. 규칙순의 필요성 = 249
8.2. 언어보편적 규칙순 = 256
8.2.1. 직접전사 가설 = 256
8.2.2. 자유 재적용 가설 = 259
8.2.3. 전국규칙 = 261
8.2.4. Kisseberth 1973a = 266
8.2.5. KSN 1974 = 273
8.2.6. 국부규칙순 = 281
8.3. 규칙의 적용양식 = 288
8.3.1. 동시적용 = 288
8.3.2. 반복적용 = 292

9장 규칙재배열 = 295
9.1. 변이형과 규칙재배열 = 295
9.1.1. 음변화와 규칙재배열 = 295
9.1.2. 방언과 규칙재배열 = 298
9.2. 규칙재배열의 방향성 = 300
9.2.1. 최다적용원칙 = 300
9.2.2. Kisseberth/Kenstowicz 1971 = 304
9.2.3. 투명과 불투명 = 306

10장 기능적 제약 = 313
10.1. 공모 = 313
10.1.1. 기능적 제약 = 313
10.1.2. 형태소 구조조건 = 315
10.2. 실제적 제약 = 319
10.2.1. 절대적 제약과 상대적 제약 = 319
10.2.2. 세 가지 실제적 조건들 = 321

11장 순환규칙 = 327
11.1. 강세규칙 = 327
11.1.1. 파생어의 강세 = 327
11.1.2. 합성어강세규칙과 핵심어강세규칙 = 330
11.2 순환과 강세규칙 = 334
11.2.1. 강세규칙의 순환적용 = 334
11.2.2. 문제점들 = 341

12장 자연음운론 = 343
12.1. Stampe 1972 = 343
12.1.1. 언어습득과 음변화 = 343
12.1.2. 과정과 규칙 = 349
12.2. Hooper 1973 = 350
12.2.1. 추상성의 문제 = 350
12.2.2. 분석의 예들 = 355
12.2.3. 문제점들 = 361


제3부 비단선음운론
13장 음절 = 369
13.1. 언어학적 단위로서의 ''음절'' = 369
13.1.1. ''음절''의 정의 = 369
13.1.2. ''음절''의 필요성 = 372
13.2. 분철법 = 384
13.2.1. 음절초 자음 최대원칙 = 384
13.2.2. 공명순 배열원칙 = 389
13.2.3. 공명도 척도 = 392
13.3. 음절의 구조 = 399
13.3.1. 위계적 구조 = 399
13.3.2. 평판적 구조 = 403
13.4. 양음절성 = 406
13.4.1. 양음절성 = 406
13.4.2. 양음절성과 음운규칙 = 408
13.5. 음절형판과 음운규칙 = 410
13.5.1. It ₩hato 1986, 1989 = 410
13.5.2. Noske 1982, Cairns/Feinstein 1982 = 420

14장 자립분절음운론 = 431
14.1. 문제의 제기 = 431
14.1.1. 굴곡성조 = 431
14.1.2. 복합 분절음 = 437
14.1.3. 복수 층열의 필요성 = 439
14.2. 조건과 규약들 = 443
14.2.1. 적격조건 = 443
14.2.2. 연결규약 = 446
14.2.3. Haraguchi 1977 = 449
14.3. 이론의 확장 = 455
14.3.1. 모음조화 = 455
14.3.2. 비강음화 = 463

15장 CV 음운론 = 469
15.1. CV 층열 = 469
15.1.1. 비연속 형태론 = 469
15.1.2. OCP = 476
15.1.3. CV 층열의 필요성 = 481
15.2. CV 음운론의 변종들 = 498
15.2.1. X-이론 = 498
15.2.2. 모라 이론 = 511

16장 율격음운론 : 수형도 = 517
16.1. 이론의 개요 = 517
16.1.1. SPE의 강세규칙 = 517
16.1.2. Liberman/Prince 1977 = 525
16.2. 수정이론 = 536
16.2.1. Selkirk 1980b = 536
16.2.2. Hayes 1981 = 553

17장 율격음운론 : 격자 = 567
17.1. 수형도와 격자 = 567
17.1.1. Liberman/Prince 1977 = 567
17.1.2. Hayes 1984 = 578
17.2. 격자 단독 이론 = 585
17.2.1. Prince 1983 = 585
17.2.2. Halle/Vergnaud 1987a = 594

18장 기하학적 자질도형과 불완전표시 = 599
18.1. 기하학적 자질도형 = 599
18.1.1. Clements 1985a = 599
18.1.2. Halle-Sagey 모형 = 613
18.1.3. McCarthy 1988 = 616
18.1.4. 확산과 저지 = 621
18.2. 불완전표시 = 629
18.2.1. Archangeli 1984, 1985 = 629
18.2.2. 근원적 불완전표시와 대조적 불완전표시 = 648

19장 원소음운론 = 659
19.1. 단원자질 가설 = 659
19.1.1. 단원자질의 정의 = 659
19.1.2. 단원자질의 당위성 = 662
19.2. 단원자질 이론들 = 671
19.2.1. 종속음운론 = 671
19.2.2. 입자음운론 = 683
19.2.3. 자성(磁性)음운론 = 694

20장 음운론과 인접 분야 = 705
20.1. 음운론과 형태론 = 705
20.1.1. 단계유순가설 : Siegel 1974 = 705
20.1.2. 어휘형태론 : Kiparsky 1982a, b = 713
20.2. 음운론과 통사론 = 718
20.2.1. 직접이론 : Kaisse 1985 = 718
20.2.2. 간접이론(운율음운론) : Selkirk 1980a, 1984, Nespor/Vogel 1986 = 731


제4부 최적성이론
21장 최적성 이론 = 741
21.1. 이론의 대두 = 741
21.1.1. 표준이론의 문제점들 = 741
21.1.2. 하나의 비유 = 749
21.2. Tagalog의 삽입사 첨가 = 754
21.2.1. 제약과 위계 = 754
21.2.2. 제약의 기능주의 = 761
21.3. Lardil의 경우 = 766
21.3.1. 운율형태론적 분석 = 766
21.3.2. 최적성이론의 분석 = 769
21.4. Axininca Campa의 중첩 = 774
21.4.1. 새로운 제약들 = 744
21.4.2. 자료와 분석 = 780

22장 최적성이론의 구조 = 785
22.1. 입력형 = 785
22.1.1. 풍요기저론 = 785
22.1.2. 풍요기저론과 기저분절음 = 792
22.1.3. 어휘부 최적화 = 794
22.2. 생성부와 평가부 = 797
22.2.1. 생성부 = 797
22.2.2. 제약 = 800
22.2.3. 평가부 = 812
22.3. 계승유형론 = 817
22.3.1. 제약의 계승 = 817
22.3.2. 계승유형론과 언어보편성 = 822

23장 최적성이론의 발전 = 829
23.1. 대응이론 = 829
23.1.1. 중첩 = 829
23.1.2. 과다, 과소 적용 = 836
23.1.3. 대응제약들 = 839
23.1.4. 중첩과 대응이론 = 843
23.1.5. 무표의 출현 = 851
23.1.6. 출력형 - 출력형 동일성제약 = 854
23.2. 불투명 = 858
23.2.1. 두 종류의 불투명 = 858
23.2.2. 대응이론 이전의 불투명 = 864
23.2.3. 계층적 최적성이론 = 866
23.2.4. 공감이론 = 873
23.2.5. 국부 제약연대 = 877

참고문헌 = 883
찾아보기
한영 = 947
영한 = 963
인명 = 981
언어 = 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