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머리말

Ⅰ. 새터민 대상 한국어 교육
1. 새터민 대상 한국어 교육의 특수성
1.1. 난제
1.2. 교육의 다층성
2. 새터민의 남한 적응 실태
2.1. 새터민의 사회 적응 실태
2.2. 새터민의 언어 적응 실태
3. 새터민의 한국어 교육 현황
3.1. 하나원 언어 적응 교육 프로그램
3.2. 국립국어원의 연구.조사 및 교육 과정 운영 현황

Ⅱ. 새터민 대상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1. 어휘 선정 범주를 위한 문헌 검토
1.1. 의사소통 상황
1.2. 어휘
1.3. 화용 표현
2. 새터민 대상 학습 어휘
2.1. 조사 방법
2.1.1. 선행 연구 검토 및 조사 방법론 확정
2.1.2. 면담용 어휘 목록 확보
2.1.3. 면담용 설문지 작성
2.1.4. 면담 진행
2.1.5. 새터민 검증단의 어휘 최종 검증
2.2. 조사 결과
2.2.1. 새터민의 다문화적 배경 조사 결과
2.2.2. 새터민 의사소통 적응 분석 결과
2.2.3. 어휘 최종 확정

Ⅲ. 새터민 대상 한국어 어휘 학습 교재 개발
1. 교재의 개발 방향 및 집필 기준
1.1. 교재의 개발 방향
1.2. 교재 집필 기준
2. 교재의 특성
2.1. 대상적 특성
2.2. 내용적 특성
2.3. 구성적 특성
3. 교재 개발 내용 구성 틀
3.1. 어휘
3.2. 의사소통 상황
3.3. 국어 문화
4. 교재의 교육 내용
4.1. 어휘
4.2. 의사소통 상황
4.3. 국어 문화
4.4. 익힘 문제
4.5. 마무리
4.6. 쉬어 가기
5. 교재의 구성 체제
5.1. 단원 구성의 방향
5.2. 단원 구성의 원리
5.3. 단원의 구성 체제와 그 특징
5.4. 예시 단원

Ⅳ. 독일의 통일 관련 참조 논의
1. 통일 전 동독의 공식적인 담화에서의 특징
2. 통일 전 동독의 일상 담화에서의 특징
3. 독일 통일 직전 전환기(Wende) 담화의 특징
4. 통일의 언어적 도전
5. 의사소통의 간극
5.1. 텍스트 장르와 사회 변화
5.2. 통일 이후, 구동독의 ‘텍스트 장르’ 목록 재구성
5.3. 구어 장르에서의 변화
6. 언어적 변이와 사회적 변동

Ⅴ. 결과의 활용 방안 및 향후 과제

참고 문헌
"부록 1" 의사소통 상황별 면담 설문지
"부록 2" 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어휘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