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장 들어가는 말 = 11
제2장 이론적 배경 = 15
1. 전통문법에서의 이론 = 16
1.1. 시제(tense) = 16
1.1.1. 시간의 중요 구분 = 18
1.1.2. 시간의 하위 구분 = 23
1.1.3. 시제의 비시간적 사용 = 27
1.1.4. 영어의 확충시제(정시제, 진행시제, 계속시제) = 34
1.1.5. 시제에 관한 용어 = 37
1.2. 상(aspect) = 39
1.2.1. 정의 = 39
1.2.2. 완료 = 41
2. 일본말에서의 때매김에 대한 설명 = 43
2.1. 텐스(tense) = 43
2.2. 아스펙트(Aspect) = 48
3. 모다리티(modality) = 52
제3장 선학들의 국어 때매김 연구 = 57
1. 주시경 선생의 때매김법 = 59
1.1. 끗기의 매 = 59
1.1.1. 이때 = 59
1.1.2. 간때 = 59
1.1.3. 올때 = 60
1.2. 매김꼴의 때매김법 = 63
1.2.1. 단순때의 매김꼴 = 63
1.2.2. 복합때의 매김꼴 = 63
1.2.3. 잇기의 때 = 64
2. 최현배 선생의 때매김법 = 66
2.1. 열두 가지 때매김(12시제) = 67
2.2. 베풂꼴의 때매김 = 68
2.2.1. 바로때매김 = 68
2.2.2. 도로생각때매김(回想時制) = 73
2.2.3. 도로생각때매김의 보기 = 74
2.3. 매김꼴의 때매김 = 76
2.3.1. 바로때매김 = 76
2.4. 다른 끝바꿈꼴(活用形)의 때매김 = 80
2.4.1. 물음꼴의 때매김 = 80
2.4.2. 감목법의 때매김 = 82
2.5. 이음법의 때매김 = 83
2.5.1. 바로때매김 = 83
2.5.2. 도로생각때매김 = 84
2.6. 그림씨의 때매김 = 85
2.6.1. 그림씨의 마침법의 베풂꼴의 때매김의 보기틀 = 85
2.6.2. 그림씨의 매김꼴의 때매김 = 85
2.7. 그림씨의 다른 끝바꿈꼴 때매김 = 91
2.7.1. 그림씨 마침법의 물음꼴 때매김 = 91
2.7.2. 그림씨 감목법의 이름꼴 때매김 = 91
2.7.3. 그림씨 이음법의 때매김 = 92
2.8. 잡음씨의 때매김 = 93
2.8.1. 잡음씨 베풂꼴의 이적 = 93
2.8.2. 잡음씨 베풂꼴의 지난적 = 93
2.8.3. 잡음씨 베풂꼴의 올적 = 93
2.8.4. 잡음씨 베풂꼴의 도로생각때매김 = 94
2.9. 잡음씨 감목법의 매김꼴 때매김 = 94
2.9.1. 잡음씨 감목법의 매김꼴 이적때매김 = 94
2.9.2. 잡음씨 매김꼴의 지난적 = 95
2.9.3. 잡음씨 매김꼴의 올적 = 95
2.9.4. 잡음씨 매김꼴의 도로생각때매김 = 95
2.9.5. 잡음씨 매김꼴의 때매김 보기틀 = 96
2.9.6. 잡음씨의 다른 끝바꿈꼴 때매김 = 96
3. 정인승 선생의 때매김법 = 98
3.1. 움직씨의 때매김 = 98
3.1.1. 끝바꿈으로의 때매김 = 99
3.1.2. 도움줄기로의 때매김 = 99
3.2. 그림씨의 때매김 = 101
3.2.1. 끝바꿈으로의 때매김 = 101
3.2.2. 도움줄기로의 때매김 = 101
3.3. 폴이토씨의 때매김 = 103
3.3.1. 끝바꿈으로의 때매김 = 103
3.3.2. 도움줄기로의 때매김 = 103
4. 이희승 선생의 때매김법 = 105
4.1. 동사의 시제 = 105
4.2. 형용사의 시제 = 108
4.3. 존재사의 시제 = 111
5. 이숭녕 선생의 때매김법 = 113
5.1. 동사의 시제 = 113
6. 허웅 선생의 때매김법 = 116
6.1. 기본(단순) 때매김법 = 117
6.1.1. 현실법 = 118
6.1.2. 완결법 = 118
6.1.3. 추정법 = 119
6.1.4. 회상법 = 119
6.1.5. 복합때매김법 = 120
6.1.6. 매인풀이씨로 때의 흐름을 나타냄 = 123
7. 박지홍 선생의 때매김법 = 124
7.1. 때매김-안맺음씨끝 = 125
7.1.1. 이적-안맺음씨끝(이적-도움줄기) = 125
7.1.2. 지난적-안맺음씨끝(지난적-도움줄기) = 125
7.1.3. 울적-안맺음씨끝(올적-도움줄기) = 126
7.1.4. 돌이킴-안맺음씨끝(회상-도움줄기) = 126
7.2. 때안맺음과 때안맺음의 결합 = 127
7.2.1. -았었/었었- = 127
7.2.2. -았더/었더- : 지난적회상 = 127
7.2.3. -았겠/었겠- : 지난적짐작 = 127
7.2.4. -겠었- : 올적마침 = 128
7.3. 안맺음씨끝과 맺음씨끝의 이음 = 128
7.3.1. ''-았/었+는'', ''-겠는-''의 이음 = 128
7.3.2. ''-았/었+을''의 이음 = 128
7.3.3. ''-더+ㄴ''의 이음 = 129
제4장 현대 국어의 때매김 문제 = 131
1. 현대 국어의 때매김 형태소 = 132
2. 현대 국어의 때매김 = 134
2.1. 시제 = 134
2.1.1. 과거 및 과거와뇰 = 134
2.1.2. 현재 ''-는'' = 149
2.1.3. 미래시제 = 159
2.2. 시상 = 165
2.2.1. 회상시상 = 165
2.2.2. 진행시상 = 176
3. 매김법의 때매김 형태소 = 180
3.1. 시제 = 180
3.1.1. 과거관형시제 : -은/ㄴ = 180
3.1.2. 현재관형시제 : -는- = 181
3.1.3. 미래관형시제 : 을/ㄹ = 185
3.2. 시상 = 189
3.2.1. 과거관형시상 : -었을- = 189
3.2.2. 미래관형시상 : -겠는- = 190
3.2.3. 회솽관형시상 : -던- = 191
3.2.4. 과거회상관형시상 : -었던- = 192
3.2.5. 과거완료회상관형시상 : -었었던- = 195
3.2.6. 추정회상관형시상 : -겠던- = 196
3.3. 진행시상 = 196
3.3.1. 현재진행관형시상 : ''-고+있는-'' = 196
3.3.2. 현재진행추정관형시상 : ''고+있을-'' = 197
3.3.3. 현재진행회상관형시상 : ''-고+있던-'' = 197
3.3.4. 과거진행회상관형시상 : ''-고+있었던-'' = 198
제5장 맺음말 = 199
참고서적 = 203
펼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