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불교적 상상력과 문학
元曉의 시문학 / 이종찬 = 13
1. 서론
2. 4언시로 보는 근거
3. 구성의 검토
4. 결론
禪과 詩의 상관성 / 김갑기 = 37
1. 佛敎와 佛敎文學
2. 禪과 詩의 상보성
3. 禪과 詩의 만남
4. 문제의 정리
東岳 李安訥의 佛僧과의 交遊詩 / 김상일 = 63
1. 시작하는 말
2. 이안눌 불교시의 형성 배경과 존재 형식
3. 이안눌 불교시의 제재적 성격
4. 맺는 말
서정주 시의 불교적 상상력 / 홍신선 = 99
1. 머리말
2. 통합적 세계인식과 영통주의
3. 이미지 연결논리와 불교적 상상력
4. 이성적 구조와 현실성 논쟁 - 불교적 상상력 비판
5. 맺음말
서정주 시의 불교적 상상력과 생태적 세계관 / 한만수 = 127
1. 들어가며
2. 미당의 불교적 상상력
3. 탈근대의 한 가능성 - 미당의 생태적 상상력
4. 나오며
불교적 상상력과 현대시의 세계관 / 장영우 = 147
1. 불교적 세계관과 상상력
2. 불교적 세계관의 현대시 수용 양상
3. 잠정적 결론 - 화해와 상생의 정신

제2부 불교문학과 사찰 공간
淨巖寺 연기설화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 김승호 = 169
1. 머리말
2. 정암사 연기설화의 각편
3. 삼국유사 소재 정암사창건설화
4. 자장전과 정암사사적
5. 수마노탑과 문헌설화
6. 정암사연기설화의 민담적 변이양상
7. 정암사연기설화의 계통적 흐름
팔상문학과 법주사의 팔상전 / 김진영 = 199
1. 서론
2. 팔상의 유입과 전개
3. 팔상문학의 실태와 장르 양상
4. 팔상문학과 법주사의 팔상전
5. 결론
한국인의 心像에 비쳐진 佛國寺 / 이광우 = 235
1. 머리말 : 사찰의 문화적 의미
2. 네 가지 심상
3. 가치 있는 것들을 위하여 : 결론을 대신하여
『朝鮮佛敎維新論』에 담긴 한용운의 세계관과 乾鳳寺와의 영향관계 / 이홍섭 = 247
1. 문제 제기
2. 건봉사의 근대적 학풍 및 항일정신과 그 영향
3. 『朝鮮佛敎維新論』에 담긴 근대정신과 개혁사상
4. 건봉사와 『朝鮮佛敎維新論』
5. 결론

제3부 언해 문학에 대한 조명
〈月印釋譜〉의 국어사적 위상 / 김영배 = 269
〈長壽經諺解〉에 대하여 / 김무봉 = 293
1. 서론
2. 서지사항 및 언해체제
3. 어학적 고찰
4. 결론
원각경언해의 표기법과 어휘 / 정우영 = 319
1. 서론
2. 원각경언해 표기법의 특징과 역사
3. 어휘
4. 결론
『염불보권문』의 어휘 연구 / 이유기 = 357
1. 머리말
2. 단어의 구성
3. 어휘의 의미 유형별 고찰
4. 날짜 관련 어휘
5. 數詞
6. ㅎ말음체언
7. 기타 어휘 및 방언
8. 맺음말
釋譜詳節과 月印釋譜의 구성방식과 그 의미 / 김기종 = 403
1. 머리말
2. 텍스트의 개관
3. 釋詳 권11과 月釋 권21의 비교 고찰
4. 텍스트 구성방식의 차이점과 그 의미
5. 맺음말


펼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