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차례 = 9

1부 고전문학 연구 편력기
나의 고전문학 연구 편력기 = 17
국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23
고소설사의 시대구분 문제 = 39
단군신화의 문학적 성격 = 71
임란 전후 국문학 연구의 제 문제 = 79
허균 소설의 문학사적 위상 = 89
동선기를 통해 본 17세기 소설의 변모 = 101
18세기 동북아시아의 문화적 접촉 양상 = 116
서울의 위항문학에 대하여 = 123
제주 서사문학의 역사 지리적 위상 = 131
제주도와 유배문학 = 143
한·중·일 문화교류의 좌표 = 150
고소설 읽기의 사회학 = 157
이야기책 읽기와 대중문화의 발달 = 169
고전 읽기의 생활화 방향 = 186

2부 국문학 자료 발굴
임진록 = 197
기재기이 = 294
이벽선생몽유록 = 212
유한당언행실록 = 218
수산 광한루기 = 224
을병연행록 = 232
유옥역전 = 242
청구고담 = 247
홍길동전 = 253
숙창궁입궐일기 = 258
최현전 = 265
반필석전 = 277
정향전 = 287
사심보전 = 292
오옥기담 = 296
청구총화·동패집·동소만록 = 306

3부 아쉬움이 남는 세월
아쉬움이 남는 세우러 = 319
나의 연구답사 회고 = 324
제주의 여인상 = 330
유형지의 한으로 결은 별사미인곡 = 337
추사 선생의 고택을 찾아 = 342
홍순언 설화와 곤담동 = 345
이수정의 성서 번역운동 = 348
뱀 이야기 = 353
동남아 기행 유감 = 357
한신 대진재가 준 교훈 = 361
황사영의 처 정난주의 운명적인 삶 = 364
기해일기에 나타난 순교자 상 = 368
창빈 안씨 신도비에 대하여 = 373
옛책 이야기 = 378
의상과 원효 이야기 = 382
고전 번역의 제 문제 = 386
논술고사의 바람직한 방향 = 393
대학이 흔들리고 있다 = 399
작은 대학이 살아 남는 길 = 402
숭실 백년의 회고와 전망 = 406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십년사 = 411
숭실 문학의 전통 = 420

4부 책을 통한 만남
조선문학사 = 431
한국송사소설연구 외 = 441
조선통신사의 문학 = 446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 454
임진왜란 포로실기 연구 = 457
한국고소설사와 논 = 463
인간의 연구 = 466
조선 그리스도교의 문화사적 연구 = 468
한국현대소설과 사상 = 473
밥짓는 시인 퍼주는 사랑 = 477

5부 삶과 인연
일오 구자균의 삶과 학문 = 483
시원 김기동의 소설 연구 = 488
다형 김현승의 생애와 문학 = 499
황패강의 인간과 학문 = 507
청동 진동혁의 인품과 학문 = 517
상산 정재호의 회갑을 기림 = 532
송전 유우선의 정년을 기림 = 532
평주 박을수의 시조 연구 = 535
은봉 최태영의 한국어문학논고 = 540
유강 권영진의 환력을 기림 = 543
정대구 시인과의 인연 = 548

省吾 蘇在英 교수 약력 = 553
省吾 蘇在英 교수 연구업적 = 555


펼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