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보
일러두기
추천사 | 박유철
머리말 | 유 진
[해제] 한국을 조국처럼 한국인을 동포처럼 사랑한 캐나다인, 스코필드 박사 자료 | 김승태

I. 일제 강점기 스코필드 박사의 보고서 및 기고문
1. 스코필드 박사의 일제 만행 보고서
01. 제암리 학살 만행 보고서(1919. 4)
02. 수촌리 학살 만행 보고서(1919. 7. 26)

2. 스코필드 박사의 식민지 한국의 상황에 대한 영자 신문 기고문
01. 한국 사태를 조사할 제국조사위원회(1919. 7. 1)
02. 한국 민심의 파악: 일본의 가장 중대한 문제와 실패의 원인(1919. 8. 2)
03. 한국에서의 개혁 I: 한국에 대한 일본의 도전 - 불가능한 정책(1919. 8. 26)
04. 한국에서의 개혁 II: 캐나다 혹은 아일랜드? - 조사의 필요성(1919. 8. 27)
05. 한국에서 행해지는 고문: 미즈노 박사가 해결할 문제(1919. 11. 29)
06. 한국에서 죄수들에게 행해지는 고문: 일제 통치 하에서의 죄악(1920. 1)
07. 한국의 개선책: 새로운 제도의 비평적이고 건설적인 조망(1920. 3. 12)
08. 한국의 개선책: 비평적 조망 II - 헌병경찰제도의 폐지(1920. 3. 13)
09. 한국에서의 개혁 III - 실패의 원인: 가혹한 통치 탓에 진정한 개선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다(1920. 3. 14)
10. 한국: 프랭크 헤론 스미스 목사에 대한 답변(1920. 4. 10)
11. 압제자의 멍에 아래 신음하는 한국: 서울의 한 의료인이 전하는 한국의 자유를 향한 부르짖음(1920. 7. 12)
12. 한국에서 일본의 개혁(1920. 7. 17)
13. 한국의 미래: 하라 일본 총리와의 인터뷰(1920. 9. 4)
14. 한국의 여성들은 ‘힘’을 가지고 있다(1920. 6. 7)

3. 스코필드 박사의 국내 신문 기고문
01. 한국 발전의 요결(1920. 4. 1)
02. 조선의 친구여(1) 캐나다로 귀국 중인 스코필드씨 편지(1926. 9. 17)
03. 조선의 친구여(2) 실행이 제일(1926. 9. 19)
04. 나의 경애(敬愛)하는 조선의 형제여?스코필드 박사 서한(1927. 1. 5)
05. 경애(敬愛)하는 조선 형제에게(1931. 12. 26)

II. 해방 이후 스코필드 박사의 기고문
01. 민심은 공포에 잠겨 있다 의사당 앞에 무장경관이라니(1959. 1. 3)
02. 의, 용기, 자유의 승리(1960. 4. 28)
03. 내가 본 한국혁명(1961. 1. 8)
04. 한국 교회의 어제와 오늘(1961. 3)
05. 정직은 번영에의 유일한 길이다(1961. 4)
06. 나는 이렇게 본다. 한국의 군사혁명(1961. 6. 15)
07. 3·1 운동(1962. 3. 2)
08. 서울대의 문제점(1962. 12. 3)
09. 1919년 3월 1일과 1963년 3월 1일(1963. 2. 28)
10. 스코필드 박사, 박의장에게 서한(1963. 3. 23)
11. 3·1 독립선언기념탑 제막식에서 한 스코필드 박사의 축사(1963. 8. 17)
12. 나도 한국의 분신, 할 말은 해야겠다(1963. 9. 13)
13. 내핍은 수범(垂範)에서만(1964. 1. 16)
14. 사건의 전모 밝혀야(1964. 3. 3)
15. 나는 왜 돌아왔나?(1965. 1. 4)
16. 1919년 3월 1일, 삼일절에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가?(1966)
17. 하나로 뭉친 독립만세(1969. 3. 1)
18. 3·1 운동은 한국 정신의 상징(1969. 3. 1)
19. 현대사조(1967~1969)
20. 한국 국민에 보내는 메시지(1970. 3. 1)
21. 스코필드 박사 병상 단상록(1970. 4. 16)
22. 박정희 신임 대통령을 위한 기도문(1963. 12. 15)

III.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회고
01. 석호필 박사의 최후 | 백난영, 전택부(1970. 5)
02. 고 스코필드 박사 간병 365일 | 태신자(1970. 4. 17)
03. 1919년 3·1 운동과 선교사들 | J. 어니스트 피셔(J. Ernest Fisher)(1975. 3)
04. 구두 밑창에 3·1 운동 사진 필름 숨겨 임정(臨政)에 전달 | 정환범(1997. 5)
05. 스코필드: 조선을 치유한 의사 | 정운찬(2004. 2)
06. 프랭크 W. 스코필드 박사: 비범한 수의학자 | 더글라스 C. 메이플스던(Douglas C. Maplesde)(2005)
07. 국립묘지에 잠든 벽안의 애국지사 프랭크 W. 스코필드 박사 | 이삼열(2006. 3)

IV.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연구 논문
01.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인의 민족의식 | 도레타 모티모어(Doretha E. Mortimore)
02. 프랭크 스코필드(Frank W. Schofield)의 영성 | 남태욱
03. “주동자:”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 독립운동 | 바바라 리걸트(Barbara Legault), 존 프레스콧(John F. Prescott)
04. 스코필드 박사의 의료(교육)·사회선교와 3·1 독립운동 | 이만열

부록
I. 원문
II. 스코필드 박사 연보

찾아보기 | 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