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 론

향가의 공간
향가의 공간적 상상력
1. 서 론
2. 향가에 나타난 공간들
3. 향가 작품의 공간성
4. 향가의 공간적 상상력

화랑의 순유(巡遊)와 향가
1. 서 론
2. 화랑의 순유 활동
3. 순유와 관련된 향가
4. 결 론

향가에 그려진 길 위의 여성
1. 서 론
2. 유배와 부임 길―<서동요>와 <헌화가>
3. 구원과 왕생 길―<도천수관음가>와 <제망매가>
4. 길 위의 여성 형상이 갖는 의의
5. 결 론

건축가 화랑 비형랑과 <비형주사>
1. 서 론
2. 비형에 관한 사실들
3. 비형에 대한 환상들
4. 사실과 환상 사이의 <비형주사>
5. 결 론

<원왕생가>와 삼층 석탑의 구조적 상동성
1. 서 론
2. <원왕생가>의 공간적 구도
3. 3단의 내포형 의미 구조
4. 삼층 석탑과의 구조적 상동성
5. 결 론

인간과 향가
향가와 의사소통
1. 서 론
2. 향가를 통한 의사소통의 양상
3. 의사소통과 향가 교육
4. 결 론

향가의 기억과 서정성
1. 서 론
2. 기억의 양상
3. 기억의 형상화와 향가의 서정성
4. 결 론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1. 서 론
2. 화랑세기에 나타난 모성
3. 향가에 그려진 모성
4. 결 론

<모죽지랑가>의 인간관계
1. 서 론
2. 효소왕대 죽지랑의 화랑과 낭도
3. 삼국유사의 승랑과 화랑
4. 화랑세기의 낭두와 화랑
5. <모죽지랑가>에 그려진 인간관계
6. 결 론

<우적가>의 주체와 타자
1. 서 론
2. 타자에 대한 세속의 논리―비보와 유지
3. 타자에 대한 초월의 논리―<우적가>
4. 결 론

<처용가>의 감각
1. 서 론
2. <처용가>의 시적 상황
3. 시각 ; 움직임과 목격
4. 촉각 ; 성(性)과 다툼
5. 감각과 의식
6. 결 론

‘영랑전’과 ‘화랑세계’의 향가 관련 기록
1. 서 론
2. ‘백파가’ 검토
3. 향가의 향유 양상
4. 향가의 작자
5. 향가 관련 인물
6. 결 론

향가와 후대 시가
<원가>와 <만전춘별사>의 궁원 풍경
1. 서 론
2. <원가>의 궁원
3. <만전춘별사>의 궁원
4. 궁원 풍경 속의 서정
5. 결 론

<동동>의 선어(仙語) 및 난해구 재해석
1. 서 론
2. 화랑, 국선, 선
3. 화랑의 활동상과 <동동>
4. <동동> 난해구 해석과 선어의 이해
5. 결 론

<이상곡>의 분절과 해석
1. 서 론
2. <이상곡>의 분절
3. <이상곡>의 해석
4. 서정시로서의 특징

중세 서정시에서 왕의 존재 ― 향가와 고려 가요를 중심으로
1. 서 론
2. 왕의 존재 양상
3. 왕의 존재와 서정성의 흐름
4. 결 론

나뭇잎과 범나비 ―<제망매가>와 <사미인곡>의 비교
1. 서 론
2. 작품의 구조
3. 죽음의 심상과 의식
4. 결 론

현대시와 향가
<유리창>과 <제망매가>
1. 서 론
2. 형식의 비교
3. 주제의 비교
4. 비교의 의의
5. 결 론

이육사의 시와 화랑도의 향가
1. 서 론
2. 이육사의 고전 시가에 대한 관심
3. 2행 구성, 3단 의미 구조와 향가 형식
4. 작품의 비교 분석
5. 결 론

10행 향가와 <님의 침묵>, <서시>
1. 서 론
2. 10행 향가의 양식적 특질
3. <님의 침묵>의 시적 구조
4. <서시>의 시적 구조
5. 향가의 전통과 <님의 침묵>, <서시>
6. 결 론

향가의 미래를 위하여
향가, 문학적 재미의 원천
1. 서 론
2. 변증법적 사유 구조
3. 서정주의
4. 장소성
5. 결 론

향가를 기억하는 일
1. 향가 속의 기억들
2. 향가에 없는 것들
3. 향가의 미래를 위하여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