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 고전문학 장르와 여성

서사한시敍事漢詩의 여성담론-남성의 시각과 여성의 현실
1. 머리말
2. 평민여성의 죽음을 보는 두 시각
3. 기생의 절개를 보는 두 시각
4. 여성억압의 현실에 대한 인식
5. 맺음말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1. 여성화자와 여성성女性性의 시학
2. 여성으로서 말하기
3. 여성에 빗대어 말하기
4. 여성인 체 말하기
5. 마무리

여성영웅소설과 평등․차이․정체성의 문제
1. 여성영웅소설이 제기한 문제
2. 여성영웅소설과 ‘평등’
3. 여성영웅소설과 ‘차이’
4. 여성영웅소설과 성별정체성
5. 맺음말

제2부 | 여성의 자기서사

여성의 자기서사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들
1. 여성 자기서사 연구의 의의
2. 자기서사의 개념
3. 자기서사에 있어서 사실과 허구
4. 남성의 자기서사와 여성의 자기서사
5. 여성적 정체성의 유형
6. 구술 여성자기서사의 의의
7. 노동여성의 자기서사
8. 그 외의 문제들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긔록>과 「규한록」의 경우
1. 머리말
2. <ᄌᆞ긔록>의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3. 「규한록」의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4. 조선 후기 양반여성의 정체성과 자기서사

기생의 자기서사-「기생명선자술가」와 <내 사랑 백석>
1. 기생과 자기서사
2. 「기생명선자술가」
3. <내 사랑 백석>
4. 절개, 낭만적 사랑, 그리고 여성

전통시대 한국여성의 자기서사
1. 자기서사의 개념
2. 전통시대 남성의 자기서사
3. 여성의 자기서사적 글쓰기의 상황
4. 자기서사의 동기
5. 자기서사의 주요작품에 나타난 여성적 자아
6. 자기서사와 지배가치의 관련양상
7. 자기서사에 나타난 여성의 경험들

제3부 | 「덴동어미화전가」의 세계

여성문학의 시각에서 본 「덴동어미화전가」
1. 고전문학연구에서 여성문학적 시각의 필요성
2. 개가改嫁의 양상과 의미
3. 귀향과 달관
4. 하층체험의 수용과 부녀가사의 변모
5. 맺음말

주해註解 덴동어미화전가
원문 현대어 표기 및 주해

원 게재처 일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