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부 문법 연구의 흐름
한국어 피동 연구의 쟁점과 과제 _김윤신
한국어 내포문 연구사?역대 학교문법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_김건희
한국어 필수 통제 구문 연구의 최근 동향?통제 보어의 외현적 주어를 중심으로? _허세문한국어 관형격조사 ‘의’ 연구의 재검토 _박소영
한국어 선어말어미 ‘-겠-’ 연구사 _임동식
한국어와 일본어 modality 연구의 과제와 전망 _이와마 아키코

제2부 의미 연구의 흐름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의 동향과 전망 _구현정
한국어 흉내말 연구의 현황과 과제 _박동근
한국어 유의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_조형일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의 동향과 전망 _정승철

제3부 텍스트·화행 연구의 흐름
한국 텍스트언어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_조원형
남북한 화행 연구의 현황과 과제?북한이탈주민의 화행 연구를 중심으로? _양수경

제4부 문헌·방언 연구의 흐름
조선시대 중국어 학습서 연구사 _신용권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상해방언 연구사의 실례를 중심으로? _강은지

제5부 계량언어학 연구의 흐름
계량언어학 분야의 연구 방법과 연구 동향 _유현조
코퍼스를 활용한 한국어 연구의 동향 _최운호
언어학과 네트워크 연구방법론 _정성훈

제6부 언어 정책과 언어 교육 연구의 흐름
외래어 표기 정책의 현황과 전망 _정희원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사 _김용경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사 _이동은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사 _송윤경

부록: 권재일 교수 논저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