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김종욱
총 설_ 김용태

제1부 사유와 가치

유식唯識 _ 박인석
Ⅰ. 중국의 유식학
유식학이란 / 중국 유식학파의 성립
Ⅱ.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유식학
삼국시대 유식학의 도입 / 통일신라 유식학의 융성
Ⅲ. 고려의 유식학
신라 유식학 전통의 계승 / 유식학풍의 쇠퇴
■ 한국 유식과 보편성의 추구

충의忠義 _ 김호귀
Ⅰ. 불교와 충의
불교와 국가 관념 / 충의사상과 정법의 관념
Ⅱ. 신라와 불법의 만남
원광과 화랑 / 신라불교와 충의사상
Ⅲ. 세속오계와 충효
세속오계와 충효 관념 / 충효와 불법
Ⅳ. 충의 관념과 호법불교의 계승
대장경의 조판 / 임진왜란과 의승군 / 의승군의 활동 / 호국과 충의정신
■ 충의 관념과 불법의 조화

하늘天 _ 김영진
Ⅰ. 고대 세계의 하늘 관념
창공과 데바 / 천신과 천명 / 무교와 신관
Ⅱ. 무량수경의 하늘 관념
하늘 관념의 유형 / 지고신과 의지천 / 윤회의 안내자 / 행위의 기록자
Ⅲ. 업설의 등장과 하늘 관념의 변형
업설의 등장 / 천도자연 / 업천
Ⅳ. 신라 불교의 신명 해석과 천신 관념
선악의 기록자 / 아뢰야식과 신명 / 천신과 윤회 / 윤리의 감시자
Ⅴ. 신라 불교 이후 천신 관념의 전개
제석천과 제석신앙 / 신중신앙 / 산신각의 출현
■ 하늘 관념과 한국불교

제2부 종교와 국가

제정일치祭政一致 _ 이자랑
Ⅰ. 고대 사회에서 제사와 정치
천강 관념과 제정일치 / 시조묘 제사와 왕권 / 제정분리와 불교
Ⅱ. 신라 중고기 왕실의 불교 수용과 왕권 강화책의 변용
신라의 불교 수용 / 전륜성왕의 이념화 / 진종설
Ⅲ. 무교와 불교의 융합
신들의 융합 / 제사와 승려 / 원당과 성전사원
Ⅳ. 고려 이후의 정치와 불교
태조 왕건과 진전사원 / 훈요십조의 불교의례 / 억불과 숭불의 사이
■ 불교와 정치

원력願力 _ 고승학
Ⅰ. ‘원력’의 정의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원력
원력으로서의 불교 / ‘원력’의 개념 규정 / 『삼국유사』에 나타난 원력
Ⅱ. 신라의 불교 수용과 왕실의 원력
신라인의 세계관과 불교 수용 / 무속적 세계관의 대체 / 왕실의 국가적 원력
Ⅲ. 통일신라시대의 원력의 양상
호국과 득자의 원력 / 불교신앙의 확산 / 신라 불교의 종합적 특성
Ⅳ. 고려 이후 원력의 양상
국가 종교로서의 고려 불교 / 수륙재와 조선 왕실의 원력
■ 원력으로서의 한국불교

사전寺田 _ 박광연
Ⅰ. 사전이란 무엇인가
불교 교단과 소유물 / 사전에 대한 견해들
Ⅱ. 신라시대 사전의 형성
사전의 형성 / 사원의 전장田莊 / 국가와 사전
Ⅲ. 고려시대 사전의 제도화
전시과와 사전 / 수조지인가 소유지인가 / 사전의 농장화
Ⅳ. 조선시대 사전의 축소
사원정리책의 영향 / 왕실의 사전 운영 / 승려 소유 사전의 증가
■ 권력과 사전寺田

제3부 문화와 교류

자장慈藏 _ 정영식
Ⅰ. 자장의 생애
자장의 삶 / 오대산 순례의 진위
Ⅱ. 자장의 사상적 기반
사분율 전승 / 섭론학 수용 / 문수신앙
Ⅲ. 자장의 교단 정비와 불교시책
불교교단 정비 / 사리탑 건립 / 황룡사 장육존상
Ⅳ. 수문제 불교정책과의 관계
불사리신앙 / 황룡사와 대흥선사 / 교단제도
■ 자장과 신라 불교교단

변체한문變體漢文 _ 김기종
Ⅰ. 불교와 동아시아인의 글쓰기
Ⅱ. 삼국시대의 변체한문
한문의 수용과 변체한문 / 한국어 문장의 기원 / 어순의 재배치와 문법 형태의 표기
Ⅲ. 불교의 전래와 신라시대의 변체한문
신라 불교 변체한문 / 순한문과 변체한문의 ‘겸용’ / ‘사실’의 기술과 한국어 어순 /
발원문과 문법 형태 표기의 다양화
Ⅳ. 고려시대 불교 금석문의 변체한문
고려 불교 금석문의 변체한문 / ‘겸용’과 표기의 확대 / 어순의 혼용과 표현 영역의 축소
■ 개인의 심성과 모국어 글쓰기

연등회燃燈會·팔관회八關會 _ 이종수
Ⅰ. 연등·팔관회의 기원과 신라의 수용
법의 등불과 팔재계 / 낙양의 불탄일과 승려 공양 / 경주의 연등회와 팔관회
Ⅱ. 고려시대 연등·팔관회의 설행
봄 연등회와 겨울 팔관회 / 봄과 겨울의 국가 축제 / 사월초파일 축제
Ⅲ. 조선시대 연등·팔관회의 폐지와 전승
억불의 여파 / 『조선왕조실록』과 연등회 / 사월 한밤의 관등놀이
Ⅳ. 연등·팔관회의 불교사적 의의
봄 연등회와 겨울 팔관회의 단절 / 민속 축제와 연등 / 사월초파일 연등회의 전승
■ 연등회와 팔관회의 고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