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1장 병리학과 기독교 - 근대적 신체의 탄생
1. 병리학의 도래와 근대 = 19
문명개화의 적, ''똥''? = 19
병인체론과 ''생체권력''(bio-power) = 28
건강한 신체, 건강한 국민! = 33
2. 기독교의 병리학적 구조 = 37
기독교, 문명, 인간주의 = 37
병은 악마, 의사는 사제? = 42
''사회생물학''적 메타포들 = 47
3. 맺으며 -〈간장 선생〉에 대한 단상 = 50

2장 몸: 병리학적 테제 1 - 거리를 유지하라
1. 내 몸은 ''나의 것''이 아니다?! = 59
2. ''가시성''의 배치 = 63
''똥''의 몰락 = 63
''보이는 것''만이 진리다 = 69
더러움과 잔혹함 = 74
3. 양생(養生)에서 위생으로 = 77
사상의학 = 77
해부병리학 = 81
4. 근대적 ''매너''의 탄생 = 88
5. 맺으며 - ''사랑을 위한 과학'' = 95

3장 몸: 병리학적 테제 2 - 뇌수를 개조하라
1. ''사스''에 대한 단상 = 103
2. 전염병, ''생체권력''의 장 = 106
호열자(虎列刺) = 107
우두법 = 109
3. 너의 몸은 국가의 것이다? = 112
청결비 = 113
피병원(避病院) = 116
매음녀의 몸, 여성의 몸 = 119
4. 너의 영혼은 민족의 것이다! = 123
양생의 메타포 = 124
혈통과 정신 = 125
심(心)에서 뇌(腦)로 = 129
영혼과 질병 = 132
5. 맺으며 - ''등산''과 ''유머'' = 137

4장 허준, 푸코를 만나다!
1. 기도의 효과 = 144
2. 몸 - 무엇을 ''볼'' 것인가? = 147
신형장부도 = 147
''비가시적인 것''의 가시성 = 150
3. 은유는 없다! = 152
''통즉불통''(通則不痛) = 152
대체의학 = 154
''유머'' - 민옹(閔翁)의 치료법 = 157
''비움'' - 양생의 요체 = 159
은유로서의 질병 = 164
4. 질병, 섹스, 죽음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두세 가지 것들 = 165
생긴 대로 병이 온다 = 165
''정''(精)을 아껴라 = 172
죽음, 삶의 또 다른 얼굴 = 177
5. 맺으며 - 죽음에 대한 유쾌한 상상 = 183

부록 : 영화로 읽는 근대성 : 괴물 - 위생권력과 스펙터클의 정치 =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