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권)
해제:
“구황관련 전문 고서의 개괄” 구자옥 1
1. 안위(安瑋)와 홍윤창(洪胤昌), 1541 의 『충주구황절요(忠州救荒切要)』 31
2. 이택(李澤),1554의 『구황촬요(救荒撮要)』 57
3. 김육(金堉),71의 『충주판 구황촬요(忠州版救荒撮要)』 71
4. 이구(李구),1653의 『영천판 구황촬요(永川版救荒撮要)』 99
5. 신속(申속),1660의 『신간구황촬요(新刊救荒撮要)』 123
6. 정조대왕(正祖),1783 『자휼전칙(字恤典則)』 151
7. 박학종(朴鶴鐘),1939의 『조선증보 구황촬요(朝鮮增補 救荒撮要)』 169
8. 이가키(井垣圭復),1943의 『구황지남(救荒指南)』 279
9. 신정언(申鼎言),1946의 『구휼국사(救恤國史)』 325



(제2권)
해제(解題) : 일제강점기의 구황관련 단행본 개괄 / 구자옥(具滋玉) 1
우에키 호미키(植木秀幹) 1919의 『조선의 구황식물(朝鮮の 救荒植物)』 9
코노사카에(兒野榮)1935의 『조선의 산열매와 산나물(朝鮮の山果と山菜)』 81
임태치(林泰治)1945의 『조선의 구황식물과 식용법(朝鮮の救荒植物と其の食用法)』165



(제3권)

해제
“조선시대 종합농서의 구황관련 발췌 개괄(1) 구자옥 1
[농가설] 유펭로(1580) 13
[농가집성] 신속(655) 17
[색경] 박세당(1676) 21
[치생요람] 강와(1691) 27
[증보산림경제] 유중임(1766) 37
[고사신서] 서명응(1771) 67
[해동농서] 서호수(1789) 93
[과농소초] 박지원(1799) 147
[농포문답] 이대규(1799) 155
[농정서] 저자미상(1800년대초) 201
[목민심서] 정약용(1818) 211
[농정회요] 최한기(1830) 221



(제4권)
해제
“조선시대 종합농서의 구황관련 발췌 개괄(2) 구자옥 1
[임원경제지] 서유구(1845) 11
[죽교편람] 한석효(1849)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