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지역문학 연구의 의미와 방향 = 13
1. 지역문학 연구의 의미 = 13
2.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 16

제2장 조선시대 서울 및 근기 지역 문학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 = 19
1. 지역성 인식의 방법과 방향 = 19
1.1. 가거지의 선택과 거주지 공간 개념 = 19
1.2. 고지도의 도상에 나타난 근기 지역 인식 방법 = 21
1.2.1.『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지도 = 22
1.2.2.「동람도」계통의 지도 = 24
1.2.3.「청구팔역도」 = 25
1.2.4.「대동여지도」계열 = 27
1.2.5.「청구요람」 = 28
1.3. 근기의 별서 경영과 차별에 기초한 중앙ㆍ지방 인식 = 30
2. 서울 및 근기 지역 문학의 접근 방향 = 49
2.1. 강호시가 = 51
2.2. 전원시가 = 54
2.3. 연군, 유배시가 = 57

제3장 조선시대 서울 및 근기 지역 고전시가의 지역성 = 61
1. 한양에서 축석령 재를 넘어간 사람들의 행적과 문학 세계 = 61
1.1. 이한진의 어부가가 놓여 있던 자리 = 61
1.2. 포천ㆍ영평의 근기성과 이한진의 영평행 = 63
1.3. 이한진과 영평과의 인연 = 65
1.4. 이한진의 영평 인식과 어부가의 면모 = 70
2. 17∼18세기 근기일대 전원시조의 형성과 작품 세계 = 76
2.1. 전원시조에 대한 시각의 점검 = 76
2.2. 예비적 고찰 = 79
2.3. 근기의 별서 경영과 전원시조의 자영농 형상 = 82
2.4. 전원시조의 미의식과 ''중앙''의 시선 = 95
3. 근기 지역 강호시조와 전원시조의 형성 배경 -「율리유곡」을 사례로 하여 = 104
3.1.「율리유곡」의 형성 배경 = 106
3.2. 강호시조와 전원시조의 관계 = 109
3.3. 한강 인근 강호시조의 문학적 특성 = 110
4. 연군시가의 지역성과 심상지리 = 114
4.1. 자료의 개관 = 115
4.2. 연군의 정서와 서울과의 관계 = 118
4.3. 연군시가의 미적 공간 = 122
5. 조선시대 한양인의 시공간 감각과 회고시조의 생성 배경 = 129
5.1. 회고시조의 개념과 접근 방향 = 129
5.2. 조선시대 한양과 송도의 지리적 배치 = 137
5.2.1. 회고시조 형성의 심성적 맥락 = 137
5.2.2. 새로 형성되는 송도의 지역적 이미지 = 146
5.2.3. 회고시조의 문학적 정체성 = 154
6. 탈서울의 기쁨과 자연이 주는 감동의 힘 = 156
6.1. 서울 양반의 문학으로서「관동별곡」 = 156
6.2.「관동별곡」의 생애사적 의미 = 159
6.2.1.「성산별곡」의 창작 시기와「관동별곡」과의 관계 = 159
6.2.2.「성산별곡」의 후속작으로서「관동별곡」 = 170
6.3. 송강의 관찰사 여정과「관동별곡」의 구성 = 172
6.3.1. 송강의 실제 여정과「관동별곡」의 여정 = 172
6.3.2.「관동별곡」의 드라마 = 179
6.4. 거대한 자연의 경이와 감동의 힘 = 188

제4장 고려시대로의 확장 가능성 = 191
1. 고려가요의 지역문학적 접근 방법의 모색 = 191
1.1. 고려 개경인의 거주지 공간 개념과 심상지리 = 191
1.2. 심상지리의 몇몇 양상 = 201
1.2.1. 개경과 평양 = 201
1.2.2. 개경과 춘천 = 201
1.2.3. 개경과 여주 = 203
1.3. 지역문학적 관점에서 생각해 볼 몇 가지 주제 = 204
1.3.1. 고려가요와 문학적 공간의 상징성 = 204
1.3.2. 차별에 기초한 지방 인식 = 208
1.3.3. 근기의 별서 경영과 강호ㆍ전원문학 = 210
2.「서경별곡」의 지역문학적 이해 = 212
2.1. 고려 개경 귀족의 거주지 공간 개념과 ''평양'' = 214
2.2.「서경별곡」이 노래하는 사랑의 정체 = 220
3. 문학적 상징으로서의 백제와 백제 가요 = 223
3.1. 백제 가요와 관련한 한 가지 의문 = 223
3.2. 백제 가요의 주제와 주요 정서 = 225
3.2.1. 신라ㆍ고구려 가요와의 비교 = 225
3.2.2. 고려 가요와의 비교 = 227
3.3. 고려시대 백제 가요의 수용 맥락 = 230
3.4. 상징으로서의 백제 = 234

제5장 맺음말 = 239

발문 = 244

참고문헌 = 250
찾아보기 = 261
부록 : 가계도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