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 語源學의 전망
1.0 머리말 = 11
1.1 한국 語源學의 黎明 = 11
1.2 語源學의 관심과 意味論的 탐색 = 14
1.3 한자어 語源과 고유어 語源의 변별 = 18
1.3.0 잘 익은 새 말들의 語源 = 18
1.3.1 고유어의 바뀜 = 19
1.3.2 한자어의 歸化 = 26
1.4 외래어의 歸化와 덜 익은 외국말 = 34
1.4.0 외래어의 歸化 = 34
1.4.1 외래어와 외국어 = 35
1.4.2 외국어와 混淆된 雜語 = 35
1.5 한자 附會의 誤謬 = 36
1.5.0 수긍하기 어려운 한자 附會 = 36
1.5.1 계절 이름의 한자 附會 = 37
1.5.2 ''시집과 ''媤家''는 어느 것이 원형일까? = 40
1.6 民間語源說의 위험 = 41
1.7 마무리 = 43
Ⅱ. 아름다운 우리말의 語源
2.0 머리말 = 46
2.1 ''맵씨''와 ''매무새''의 語源 = 47
2.2 ''아직''과 ''나중''의 語源 = 49
2.3 ''아프다''와 ''고달프다''의 語源 = 51
2.4 ''날카롭다''와 ''잘 들다''의 語源 = 53
2.5 ''가냘프다''와 ''간드러지다''의 語源 = 56
2.6 ''뽐내다''의 語源 = 58
2.7 마무리 = 60
Ⅲ. 우리말과 계절풍 이름의 語源的 意味
3.0 머리말 = 62
3.1 방위에 관한 우리말의 語源的 意味 = 63
3.1.0 방위에 관한 순 우리말의 追跡 = 63
3.1.1 ''새''(東)와 그 意味 = 64
3.1.2 ''하늬''(西)와 그 意味 = 65
3.1.3 ''마''(南)와 그 意味 = 66
3.1.4 ''높''(北)과 그 意味 = 67
3.1.5 여덟 방위와 바람 = 68
3.2 계절에 관한 우리말의 語源的 意味 = 71
3.2.0 방위와 계절풍 = 71
3.2.1 ''봄''과 그 意味 = 71
3.2.2 ''여름''과 그 意味 = 72
3.2.3 ''가을''과 그 意味 = 73
3.2.4 ''겨울''과 그 意味 = 74
3.2.5 ''계절풍과 네 계절 = 75
3.3 마무리 = 77
Ⅳ. 우리말 시간 계열어의 語源的 意味
4.0 머리말 = 78
4.1 ''하루''에서 ''열흘''까지의 語源的 意味 = 79
4.1.0 ''날''의 語形 변화 = 79
4.1.1 ''알''계열의 語彙와 語源 = 80
4.1.2 ''애''계열의 語彙와 語源 = 83
4.1.3 ''알''과 ''애''의 상관 = 85
4.2 ''어제·오늘·내일''의 語源的 意味 = 88
4.2.0 시간과 공간 槪念의 상관 = 88
4.2.1 공간 語彙 속에 담긴 시간 = 88
4.2.2 ''오늘'' 이전의 날들 = 90
4.2.3 ''내일'' 이후의 날들 = 93
4.3 ''아침·낮·저녁''의 語源的 意味 = 95
4.3.0 시간상 前·後 槪念의 表現 = 95
4.3.1 ''새벽''의 語源과 意味 = 97
4.3.2 ''아침''의 語源과 意味 = 98
4.3.3 ''저녁''의 語源과 意味 = 99
4.3.4 ''낮·나중·늦다''는 같은 語源 = 100
4.4 마무리 = 102
Ⅴ. 우리말 ''보름'' 이름의 語源的 意味
5.0 머리말 = 105
5.1 ''보름''과 ''그믐''의 語源的 意味 = 106
5.1.0 滿月과 晦月 = 106
5.1.1 ''달·한달·달력''의 상관 = 107
5.1.2 ''보류''의 語源과 意味 = 108
5.1.3 ''그믐''의 語源과 意味 = 110
5.2 ''대보름''의 民俗과 그 語源 = 112
5.2.0 元月과 豊年祈願祭 = 112
5.2.1 ''대보름''과 民俗 = 113
5.2.2 ''달맞이''와 ''보류'' = 113
5.2.3 ''달집 태우기''와 ''횃불쌈'' 및 ''줄다리기''의 ''밝''思想 = 114
5.2.4 ''귀맑이술''과 ''보름'' = 116
5.2.5 ''부럼''과 ''보름'' = 116
5.2.6 ''다리밟이''와 ''놋다리 밟기'' = 117
5.3 ''한가위''의 民俗과 그 語源 = 119
5.3.0 豊年感謝祭와 ''한가위'' = 119
5.3.1 ''한가위''의 由來 = 120
5.3.2 ''한가위''의 語源과 別稱 = 120
5.3.3 ''한가위''와 民俗 = 123
5.4 마무리 = 125
Ⅵ. 우리말 親族語의 語源的 意味
6.0 머리말 = 127
6.1 ''父''中心 親族語 = 128
6.1.0 父權中心 親族語의 形成 = 128
6.1.1 ''아버지''의 語源 = 129
6.1.2 ''할아버지''의 語源 = 132
6.1.3 ''아저씨''의 語源 = 134
6.1.4 ''오빠''의 語源 = 137
6.2 ''母''中心 親族語 = 139
6.2.0 婚緣과 女性親族語 = 139
6.2.1 ''어머니''의 語源 = 141
6.2.2 ''할머니''의 語源 = 143
6.2.3 ''아주머니''의 語源 = 144
6.3 마무리 = 145
Ⅶ. ''시집살이''文化 語彙의 語源的 意味
7.0 머리말 = 147
7.1 未婚女 호칭의 語源 = 149
7.1.0 계집아이의 호칭 = 149
7.1.1 ''가시내''와 ''간난이''의 語源 = 149
7.1.2 ''假男兒''說과 ''嫁僧兒''설의 허구 = 152
7.1.3 ''큰애기''와 ''아가씨''의 語源 = 154
7.1.4 ''애미나이''의 語源 = 155
7.2 ''시집''(媤家)과 ''장가''(杖家)의 語源 = 156
7.2.0 婚姻과 호칭 = 156
7.2.1 ''어른''이 되는 때와 그 意味 = 157
7.2.2 ''시집''가고 ''장가''가는 것은 어느 것이 먼저인가? = 163
7.2.3 ''장가''의 語源 = 164
7.2.4 ''시집''의 語源 = 167
7.3 ''사나이''의 語源 = 170
7.3.0 ''사나이''의 뜻 = 170
7.3.1 ''사내''와 ''서방 = 172
7.3.2 ''새방''과 ''사위'' = 173
7.4 ''계집''과 ''아내''의 語源 = 174
7.4.0 ''계집''에 관한 호칭 = 174
7.4.1 ''아내''의 語源 = 175
7.4.2 ''婦人''과 ''새댁'' = 177
7.4.3 ''계집''의 語源 = 178
7.5 ''올케''의 語源 = 179
7.6 마무리 = 181
Ⅷ. 우리말 ''목숨''관련 語彙의 語源的 意味
8.0 머리말 = 186
8.1 ''목숨''의 語源 = 188
8.2 ''사람''의 語源 = 192
8.3 ''쉬다''의 意味分化 = 195
8.4 ''돌아가시다''의 語源 = 199
8.5 마무리 = 201
Ⅸ. ''가르치다''의 語源的 意味
9.0 머리말 = 204
9.1 ''같다''의 意味分化와 ''가르치다''의 語彙分化 = 205
9.1.0 ''가르치다''의 語源인''가라''의 追跡 = 205
9.1.1 ''가리키다''와 ''가르치다''의 分化 = 206
9.1.2 ''가르다'', ''가리다'', ''가리키다''의 分化 = 207
9.1.3 ''같다''의 意味와 ''가르치다'' = 208
9.2 ''치다''의 意味分化와 ''가르치다'' = 211
9.2.0 ''가르치다''의 語根 ''치다''의 意味追跡 = 211
9.2.1 ''치다''의 同音性과 多意性 = 212
9.2.2 ''치다''의 意味分化 系譜 = 216
9.3 ''갈아+치다''의 意味集成 = 218
9.4 마무리 = 222
Ⅹ. 우리말 색체어의 語源的 意味
10.0 머리말 = 223
10.1 五色의 구분 = 224
10.2 語源論的 접근을 위한 실험 = 227
10.3 ''희다''의 語源과 語彙分化 = 230
10.4 ''붉다''의 語源과 語彙分化 = 233
10.5 ''누르다(노랗다)''의 語源과 語彙分化 = 236
10.6 ''푸르다''의 語源과 語彙分化 = 241
10.7 ''검다''語源과 語彙分化 = 245
10.8 마무리 = 247
ⅩⅠ. 한자 歸化語의 語源的 意味
11.0 머리말 = 250
11.1 온전한 한자 歸化語 = 252
11.1.0 순 우리말로 착각되는 한자 歸化語 = 252
11.1.1 ''가게''와 ''팡'' = 253
11.1.2 ''글, 글씨''와 ''먹, 붓'' = 255
11.1.3 ''옥수수''와 ''강냉이'' = 258
11.1.4 ''도무지''와 ''마냥'' = 264
11.1.5 ''무명베''와 ''중'' = 267
11.1.6 ''저''와 ''피리'' = 271
11.2 부분적 한자 歸化의 복합어 = 273
11.2.0 우리말로 정착된 歸化語 = 273
11.2.1 ''이승''과 ''저승'' = 274
11.2.2 ''변두리'' = 275
11.2.3 ''꼭둑각시'' = 276
11.3 한자 歸化語의 파생어 = 278
11.3.0 한자 歸化語의 語彙網 擴張 = 278
11.3.1 ''누비다'' = 278
11.3.2 ''띠다'' = 280
11.3.3 ''재다'' = 281
11.4 마무리 = 282
ⅩⅡ. 民間語源說 反論
12.0 머리말 = 286
12.1 ''행주치마''와 ''행짓보'' = 288
12.1.0 民間語源說의 의문점 = 288
12.1.1 幸州大捷의 逸話 = 289
12.1.2 ''행주''와의 관계에서 再照明 = 291
12.1.3 세 가지 가정과 그 打診 = 292
12.1.4 문헌 고증과 귀결 = 295
12.2 ''가시내''와 ''아주머니'' = 297
12.2.0 ''가시내''의 卑下와 愛稱 = 297
12.2.1 ''계집'', ''올케'', ''간난이'' = 298
12.2.2 ''아저씨''에서 싹트는 억측 = 300
12.2.3 ''아주머니''에서 싹트는 억측 = 301
12.3 ''道令''과 ''도련님'' = 302
12.3.0 ''道令''이 순 우리말이라는 가정 = 302
12.3.1 조선조 때의 ''道令''은 고려 때의 ''도梨''의 변형 = 302
12.3.2 長壽를 意味하는 신라 때 ''도리'' = 303
12.3.3 ''기돌''(智度路)의 民間語源說 = 304
12.3.4 ''기돌''은 ''길보(耆波)'', ''길째(永才)''와 같은 脈絡 = 305
12.3.5 ''도령''은 ''돌이+님''이 그 語源 = 306
12.4 ''高麗臭''와 ''고린내'' = 308
12.4.0 惡性 民間語源論 = 308
12.4.1 ''高麗臭''說의 근거 = 310
12.4.2 ''고린내''는 ''곯다''가 그 語源 = 311
12.5 마무리 = 313
책을 맺으며
1. 意味는 語源을 캐는 열쇠 = 315
2. 語彙網과 意味網과의 관계 = 317
3. 情報의 洪水와 意味網의 擴張 = 322
4. 反省的 思考와 指向的 思考 = 323
5. 創造的 精神 = 325
6. 文化를 열어가는 열쇠 = 326
참고 논저 = 327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