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고전 詩ㆍ歌ㆍ謠의 시학
제1장 민요 문체의 특징 - 어미부 형태를 중심으로 = 15
1. 머리말 = 15
2. 민요 어미부 형태에 나타난 특성 = 18
3. ''-네''의 의미와 문체 미학 = 32
4. 맺음말 = 48
제2장 민요 종결어 문체 ''-네''와 개화기 시가 = 51
1. 머리말 = 51
2. 찬송가 변역과 ''-네''의 확산 = 54
3. 개화기 시가와 ''-네''의 전개 양상 = 63
4. 한시 변역과 ''-네'' = 74
5. 맺음말 = 84
제3장 한시 번역 문체 연구 (Ⅰ) 한시 번역 문체의 사적 검토 = 87
1. 머리말 = 87
2. 한시 변역의 시대별 양상 = 91
3. 한시 변역 문체의 사적 흐름과 문체적 성격 = 112
4. 맺음말 = 122
제4장 한시 번역 문체 연구 (Ⅱ) 우리 한시 번역의 성격과 번역 문체의 제문제 = 125
1. 머리말 = 125
2. 우리 한시 변역의 성격 = 129
3. 우리 한시 변역 문체의 제문제 = 137
4. 맺음말 = 158

제2부 가사의 시학과 활용
제5장 가사문학의 문체적 특성 - 반복과 병렬의 문체 = 163
1. 머리말 = 163
2. 반복과 병렬의 구현 양상 = 169
3. 반복과 병렬의 구조적 문체 효과 = 183
4. 맺음말 = 192
제6장 가사문학의 구비적 성격 = 195
1. 머리말 = 195
2. 作詩의 기록성과 구비적 성격의 발현 = 199
3. 演行과 구비적 성격 = 209
4. 傅承의 기록성과 구비적 성격의 발현 = 219
5. 구비적 성격의 가사문학사적 운동 방향 = 226
6. 맺음말 = 230
제7장 〈相思別曲〉의 유구성과 표현 미학 = 233
1. 머리말 = 233
2.〈상사별곡〉향유의 유구성과 사설의 고정성 = 237
3.〈상사별곡〉표현의 양상 = 248
4.〈상사별곡〉의 표현 미학 = 257
5. 맺음말 = 263
제8장 안동의 지역성과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 지역문화 콘텐츠 제안 = 265
1. 머리말 = 265
2. 안동의 지역성 = 270
3.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 282
4. 지역문화콘텐츠 제안 = 287
제9장 가사문학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 293
1. 머리말 = 293
2. 가사 짓기의 문화 : 인문학적 정신의 생활화 = 298
3. 장소로의 환원과 정체성 구현 = 302
4.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 = 314
5. 맺음말 = 319
제10장 일제강점기 망명 관련 가사에 나타난 만주의 장소성 = 321
1. 머리말 = 321
2. 망명지 만주 = 325
3. 망명자의 만주 = 332
4. 망명인을 둔 고국인의 만주 = 341
5. 일제강점기 망명 관련 가사문학과 만주의 장소성 = 347
6. 맺음말 = 350

참고문헌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