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연구 시각 = 11

제2장 문헌적 기초 = 30
1. 문집의 서지적 특징 = 30
2. 작품 편년 = 56

제3장 서유구 산문의 형성 배경 = 69
1.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심미 취향 = 69
2. 서적의 수집ㆍ정리에 대한 관심 = 81
3. 현실 지향적 학문관 = 108

제4장 서유구 산문의 전개상 = 125
1. 수학기의 다각적 모색 = 126
2. 방폐기(放廢期와)『임원경제지』의 구상 = 133
3. 복직기의 활동과 노년의 정회 = 136

제5장 서유구 산문의 세계 = 143
1. 교양을 통한 자기 형성 = 143
(1) 예술 취향과 탈속적 인생관
(2) 여가 생활과 내면의 확충
2. ''사실''의 추구 = 172
(1) 실증적 지식으로서의 ''사실''
(2) 생동하는 ''사물 그 자체''로서의 ''사실''
3. 생활 세계에의 밀착적 접근 = 219
(1) 농업 문제에 대한 구체적 인식
(2) 주변적 인물에 대한 공감
4. 삶의 굴절에 따른 자기 응시 = 260
(1) ''오비거사''(五費居士)의 회고
(2) 홀로 남겨진 자의 비탄

제6장 서유구 산문에 나타난 자립적 삶의 모색 = 296
1. 빈곤의 체험과 자기반성 = 296
2. 가정경제학 = 314
(1) 서유구의 ''임원경제학''
(2) 빚지지 않는 삶
(3) 이익 추구의 윤리적 합리성
3. 자립적 삶의 공간 표상 = 347
(1) 사상 과제로서의 ''거주''
(2) 내밀한 사적 공간
(3) 생업의 공간
(4) 내적 요구에 의한 공공성 구축
4.『임원경제지』의 절충주의적 성격 = 384
5.『임원경제지』와 여타 산문의 연관 = 402

제7장 문학사적 전망 = 411
1. 동시대 지식인들과의 비교 = 411
2. 실학적 학풍과 문풍의 계승 = 447

풍석 서유구 연보 = 501

참고문헌 = 513

찾아보기 =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