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백암집栢庵集 해제 / 5
일러두기 / 28

백암집 상권 栢庵集上

시-285편

비 온 뒤 찾은 향적사 雨後訪香積寺31
학천 상인과 이별하며 別學天上人32
바다 어귀를 바라보며 望海門33
산속 가을밤 행각하는 도반들을 생각하며 山中秋夜憶途中諸侶34
가을날의 심회 秋懷35
벗을 떠올리며 憶故人36
동강에서 이별시를 건네다 東江贈別37
가을밤 홀로 앉아서 秋夜獨坐38
산에 올라 入山39
백운 산인에게 주다 贈白雲山人40
강가를 거닐다 江上行41
대나무를 읊다 ?竹42
귤을 읊다 ?橘43
휘 상인의 방에 부치다 題}暉上人房44
골짜기 마을 峽{村45
황령사에 부치다 題}黃嶺蘭若46
관서로 가는 여악 산인을 보내며 送廬岳山人遊關西47
숨어 살면서 幽居48
서암 노인에게 주다 贈瑞岩老人49
관서로 돌아가는 월암 인 상인을 보내며 送月庵仁上人歸關西50
봄날 느낌이 있어서 春日有感51
차운하여 선객에게 주다 次?贈禪客52
화첩에 쓰다 題}畵帖53
숨어 지내며 幽居54
한가로이 거닐다 閑行55
맑은 봄날 春晴56
능 상인에게 주다 贈能上人57
정 서천에게 올리다 上鄭舒川58
동명이 우 상인에게 준 시에 차운하다 次東溟贈宇上人?59
낙동강을 건너며 渡洛東江60
여름날 비 온 뒤 진락대에 올라 夏日雨後登眞樂臺61
해심 대사에게 보내다 寄海深大師62
순일 사미에게 주다 贈順一沙彌63
양무중의 만시 挽楊茂中64
적성의 큰선비 양무중에게 보내다 寄赤城楊碩士【茂仲】65
웅 스님에게 보내다 寄雄師66
가을밤 빗소리 들으며 秋夜聽雨67
송광사에서 송 수재의 시에 차운하다 松廣寺次宋秀才?68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다 再用前?69
산으로 떠나는 천풍산인 응화를 보내며 送天風山人應和歸山70
이 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碩士?71
암 스님 시에 차운하다 次庵師?72
구수 상인 지밀에게 주다 贈九峀上人智密73
와룡산으로 떠나는 일 상인을 전송하며 送一上人歸臥龍山74
또 又75
서 거사의 방문에 감사하며 謝徐居士來訪76
능주 김 목사를 이별하며 留別綾州金使君77
기 스님의 시에 나중에 차운하다 追次機師來?78
근친하러 가는 관 상인을 전송하며 送寬上人歸勤79
윤 상인에게 주다 贈允上人80
묘휘 사미에게 주다 贈妙輝沙彌81
성담에게 이별하며 주다 贈性湛別82
선승에게 주다 贈禪者83
박 운사가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朴運\使來?84
임경당에서 운대 박태손의 시에 차운하다臨鏡堂次朴運\臺【泰遜】?85
수재 노황이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盧秀才【榥】來?86
연 대사가 성천 상인을 전송한 시에 차운하다 次璉大師送性天上人?87
안 순천에게 보내다 寄安順天88
최 생원의 시에 차운하다 次崔生員?89
무령군 모악산에 올라 登武靈母岳山90
또 又91
모악산 정상에 올라 지리산을 바라보며 登母岳頂望智異山92
김 석사가 보낸 시에 급히 차운하다 走次金碩士來?93
천 상인의 시에 차운하다 次?天上人94
시천의 시에 차운하다 次詩川?95
이 시천이 보낸 시 [제야유당십경]에 차운하다 次李詩川寄題}野幽堂十景?96
거사에게 주다 贈居士99
즉흥시 ?事100
육조 게송의 운을 써서 명 수좌에게 주다 用祖偈?贈明首座101
천풍루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天風樓望海102
비 온 뒤 누각에 올라 양 수사의 시에 차운하다 雨後登樓次梁秀士?103
산속에서 山中104
봄날 저녁 길에서 途中春暮105
웅 스님께 드리다 寄雄師106
합천 가는 길 陜川途中107
밤에 월성 영재에 앉아 가야금 소리 들으며 돌아갈~ 月城鈴齋夜坐聽琴思歸108
차운하여 선 상인에게 주다 次?贈善上人109
가을날 산속에서 임 석사에게 보내다 山中秋日寄林碩士110
죽림 처사에게 보내다 寄竹林處士111
진사 박세혁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進士世赫?112
산속의 가을비 山中秋雨113
옛 절로 돌아가는 원 스님을 전송하며 送圓老師歸故寺114
가을날 저녁 산을 나가 우연히 읊다 秋晩出山偶吟115
묘원 선사가 게를 구하여 입으로 외워 보이다 妙圓禪師求偈口號誦示116
조 정언에게 주다 寄趙正言117
고요할 때 집구하여 서울의 여러 군자에게~ 靜中集句戱呈洛下諸君子118
초겨울 우연히 읊다 初冬偶吟119
태위 김 상서를 알현하러 서울로 가는 사람을 전송하며 送人之京謁太尉金尙書120
진락대에 올라 송 수재에게 보내다 登眞樂臺寄宋秀才121
방장산에 들어가는 스님을 전송하며 送僧入方丈山122
해 상인에게 재미 삼아 보내다 戱寄海上人123
조 진사에게 주다 贈趙進士124
정 수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鄭秀士?125
신 대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信大師來?126
인 스님에게 보내다 寄印師127
이 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碩士?128
하 수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河秀士?129
하 수재와 이 수재가 유마사에 머문다는~ 聞河李兩秀才寓維摩寺寄示二?130
차운하다 次?131
해심 대사에게 보내다 寄海深大師132
봄날 용문사에서 설암 도인이 방장산에~ 春於龍門寺送雪岩道人歸方丈山133
범패승 정에게 주다 贈淨魚山134
상 사미에게 주다 贈祥小師135
길 떠나는 고령의 정 산인에게 주다 贈古靈山人淨行脚136
호서 청산현으로 돌아가는 김 수재에게 주다 贈送金秀才歸湖西靑山縣137
선승에게 조응하여 화답하다 調{應和禪子138
영남으로 가는 순 상인을 전송하며 送淳上人遊嶺南139
공 상인에게 재미 삼아 주다 戱贈上人140
우연히 읊다 偶吟141
잠에서 깨어 夢覺142
욕천 영재에서 맹 사군이 운자를 부르다 浴川鈴齋孟史君呼?143
연 스님에게 주다 贈演師144
호 장로에게 보내다 寄浩長老145
행각승에게 주다 贈行脚僧146
밤에 범음을 듣고 범패승 채영에게 주다 夜聞梵音贈彩英魚山147
복천의 이 처사에게 주다 寄福川李處士148
묘현 상인이 시로 가르침을 구하자 재미 삼아~ 妙玄上人以詩求敎戱次其?149
고 상사 이재의 은거지에 쓴 시를 보내다 寄題}故李上舍【滓】幽居150
산속에서 우연히 쓰다 山中偶題}151
상사일에 시내를 따라 걷다 上巳日溪行152
죽림 거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竹林居士?153
고금당의 시에 차운하다 次?琴堂?154
승지 동명 정두경 시에 공경히 차운하다 次敬東溟鄭【斗卿】丞旨?155
영주로 돌아가 양산에 들어가는 오 상인을 전송하며 送悟上人歸瀛洲入陽山156
늦은 봄 暮春157
송광사 수각에 부치다 題}松廣寺水閣158
어부漁父159
삼월 이십구일에 죽암의 중이 화려한 종이~ 三月二十九日竹庵僧送華?~160
늦은 봄 우연히 읊다 暮春偶吟161
한가하게 마음대로 읊다 閑中雜?162
종성 강백년의 시를 공경히 차운하여~ 敬次姜鍾城栢年?送根上人還七寶山163
가을밤 나그네 심정 秋夜旅懷164
벗의 무덤을 지나며 過故人若堂165
황매 처사의 초당에 부치다 題}黃梅處士草堂166
장 봉의의 교외에 있는 집에 부치다 題}張鳳儀郊居167
산의 샘물 山泉168
수재 박정필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秀才廷弼?169
입춘立春170
봄을 보내며 送春171
고향의 승려와 이별하고 留別同鄕僧172
동명이 다른 이에게 준 시에 삼가 차운하다 敬次東溟見寄人173
봄을 보내며 送春174
백운산에서 방장산으로 돌아는 수 상인을 전송하다 寓白雲山送修上人歸方丈175
산속에서 山中176
여름날 절구 한 수 夏日?句177
차운하여 건 상인에게 주다 次?贈健上人178
병이 들어 읊다 病中吟179
저녁에 노봉을 바라보며 晩望爐峯180
거미줄에 걸린 나비를 놓아주며 放觸蛛網蝶181
청개구리 靑蛙182
두승산 원통암斗升山圓通庵183
비 내리는 밤 고향을 생각하며 雨夜憶故山184
이름을 구하는 승려에게 주다 贈求名僧185
박 장군에게 주다 贈朴將軍186
학사 최치옹의 시에 차운하다 奉次崔學士致翁?187
봄날의 흥취 春興188
사군 김지성이 참봉 양종호의 물가 정자에서~ 聞金使君之聲宴楊?奉鐘湖~189
강촌江村190
가을밤 구봉자를 생각하며 秋夜憶龜峯子191
그윽한 곳에 살며 마음대로 읊다 幽居雜?192
징군 유진석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柳徵君【震錫】193
만사 挽人194
백곡의 시에 차운하여 찬 스님에게 보이다 次白谷?示粲師195
담허재에 부치다 寄澹?齋196
침허 장로가 백련사로 옮겨 간 소식을 듣고~ 聞枕?長老移入白蓮社以寄197
조 학사의 운에 삼가 화답하다 奉和趙學士來?198
복천 수령이 돌아감을 듣고 절구를 보내다 聞福川宰解歸以寄?句199
승평군재에서 자면서 안 사군에게 드리다 宿昇平郡齋呈安使君200
낭선군께 받들어 드리다 奉寄朗善君201
선승에게 주다 贈禪者202
시산 조 사군에게 주다 寄詩山趙使君203
박 교리에게 보이다 呈朴校理204
시산현재에서 조 사군을 대하여 임 학사에게~ 詩山縣齋對趙使君示林學士205
조 낭중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趙郞中206
또 又207
와룡산 연 스님에게 보내다 寄臥龍山演師208
차례●21
김 집의에게 드리다 寄呈金執義209
송광사에서 사군 안후태에게 드리다 松廣寺呈安使君【后泰】210
청류동淸流洞211
조계산에 있으면서 유방승을 전송하다 寓曺溪山送遊方僧212
박 수재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秀才?213
양 처사의 초당에 부치다 題}楊處士草堂214
협곡 마을 峽{村215
황령사에 부치다 題}黃嶺蘭若216
유 수재가 제영당에 부친 시에 차운하다 次柳秀才寄題}影堂?217
김 사군이 서울로 들어감을 받들어 전송하다 奉送金使君入洛218
둘째 수 其二219
돌아가는 제비 歸?220
북으로 떠나는 승려를 전송하며 送僧歸北221
북쪽 오봉산으로 돌아가는 현해 스님을 전송하며 送懸解師北歸五峯山222
둘째 수 其二223
관동으로 돌아가는 승려를 전송하며 送僧歸關東224
폐사가 된 길상사에 묵으면서 宿吉祥廢寺225
속인에 대한 만시 挽俗人226
눈 내린 뒤 달밤에 장 수재에게 차운하다 雪後月夜次張秀才227
산중의 심회를 적어 장 수재에게 보이다 山中書懷示張秀才228
이별하며 학민에게 주다 留別贈學敏229
창주의 찰방 정광연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滄洲鄭察訪【光淵】230
둘째 수 其二231
셋째 수 其三232
넷째 수 其四233
최규에게 주다 贈崔珪234
승지 정동명에게 올리다 寄上東溟鄭丞旨235
학봉이 순 장로의 선실에 부친 시에 차운하다 次鶴峯寄題}順長老禪室?236
둘째 수 其二237
과거 보러 가는 강 선사 형제를 전송하며 送姜選士昆季赴擧238
나그넷길에 비 온 뒤 우연히 읊다 客中雨後偶題}239
지헌 사미에게 차운하여 보내다 次寄志軒沙彌240
앞의 운을 거듭 사용하여 백련암에 부치다 疊用前?寄題}白蓮庵241
지헌 사미에게 주다 寄志軒沙彌242
매 상인을 대신하여 영 스님이 보내온 시에 차운하다 替梅上人次英師來?243
둘째 수 其二244
니泥 자 운을 써서 비장루를 읊다 題}臂長樓用泥字?245
안 사군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安使君246
양무중의 만시 挽楊茂仲247
비에 막혀 약속 장소에 나가지 못하여 시천에게 보내다 阻雨不赴約以寄詩川248
민 상서에게 올리다 寄上閔尙書249
정 원외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鄭員外250
비안 현령 김호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比安宰金使君【鎬】251
비안 현령의 편지를 받고 나서 정자 조종저~ 得比安宰書寄呈趙正字【宗著】252
정 상사 형제에게 보내다 寄鄭上舍昆季253
형조 상서 남용익에게 올리다 寄上?部南尙書【龍翼】254
월성에서 옛일을 회상하며 月城懷古256
통영으로 원수를 뵈러 가는 중을 보내며 送僧赴統營謁元帥257
남원 김 사군에게 올리다 上南原金使君258
평양으로 돌아가는 현 상인을 전송하며 送玄上人歸平壤259
김 상국에게 올리다 寄上金相國260
만휴 임유후 선생에 대한 만시 挽萬休任先生【有後】261
내한 오도일에게 부치다 寄吳內翰【道一】262
사간 최후상에게 보내다 寄崔司諫【後尙】263
수찬 김석주에게 보내다 寄金修撰【錫曺】264
윤씨의 『삼절유고』 뒤에 부치다 題}尹氏三節遺稿後265
삼가 집의 조세환과 장성 수령 홍석구~ 謹次趙執義【世煥】長城?洪【錫龜】~266
김 상국께 올리다【당시 영암에 유배 중이었다】 上金相國【時謫靈岩】267
석사 조근하가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曹碩士【根夏】來?268
환선정 시에 차운하다 次喚仙亭?269
승평 군수 안후태에게 올리다 寄上昇平安使君【后泰】270
복천 수령 조경망의 시에 받들어 화답하다 奉和福川宰趙【景望】?271
감사 유명현에게 올리다 上柳監司【命賢】272
조 석사가 서석산에 노닌 시에 차운하다 次趙碩士遊瑞石山?273
운사 박태손에게 받들어 드리다 奉寄朴運\使【泰孫】274
선 수사에게 차운하다 次宣秀士275
달을 바라보며 옛 친구를 생각하다 對月有懷故人276
회소 스님을 애도하며 悼繪素上人277
유회의 시에 차운하다 次?遣懷278
진양 의곡사로 돌아가는 원 상인을 전송하면서 送圓上人歸晋陽義谷寺詩279
산을 나서며 우연히 읊다 出山偶吟280
천왕봉에 올라 登天王峯281
백운산에 머물며 수 스님을 생각하다 寓白雲山憶修上人282
흘 스님을 보내며 送屹師284
윤 진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尹進士?285
삼척 이지온이 석왕사를 유람한 시를 받들어~ 奉次李三陟【之蘊】遊釋王寺?286
영은암에서 사군 정면에게 올리다 靈隱庵上鄭使君【?】287
처사 장죽재가 교외에 살면서 가을날 흥취를 읊은~ 次張處士竹齋郊居秋興?288
정 원외랑이 보내온 시에 공경히 차운하다 敬次鄭員外來?289
연운으로 가서 머물려는 송파 대사를 전송하며 送松坡大師赴緣雲住290
만휴 임 참의에게 올리다 寄上萬休任?議291
벽암 대장로를 곡하다 哭碧巖大長老292
황령黃嶺293
묘봉妙峯294
내원內院295
호서에서 관북으로 떠나는 승려를 전송하며 送僧自湖西?遊關北296
봄날 우연히 읊다 春日偶吟297
속된 중에게 주다 贈俗僧298
다시 수선사에 이르러 벗에게 보이다 重到修禪杜示知己299
관서의 산에 돌아가는 눌 상인을 전송하며 送訥上人歸關西住山300
진정국사 『호산록』의 시에 차운하여 원인에게~ 次眞靜國師湖山錄?贈元忍301
수 사미에게 주다 贈修小師302
폐사가 된 만복사에 부치다 題}萬福廢寺303
찰방 남계 정광연에게 받들어 보내다 奉寄?溪鄭察訪【光淵】304
행 사미에게 주다 贈行小師305
환 스님의 시에 차운하다 次還師?306
환 스님에게 보내다 寄還師307
『화엄경』을 읽고 讀華嚴經308
판관 유현과 함평 오이익을 모시고~ 奉陪柳判官【俔】吳咸平【以翼】遊順天松廣寺309
봄날 저녁 산에 거하며 山居春暮310
의심 상인이 시를 지어 방장산의 경치를 묻기에~ 義諶上人作詩問方丈山景~311
윤 스님이 시를 구하기에 재미 삼아 주다 允上人求詩戱贈312
오 스님에게 드리다 贈悟上人313
관 스님에게 드리다 贈?上人314
계룡산 우 대사에게 드리다 贈鷄龍山牛大師315
가을밤 심정을 적어 명, 순 두 사미에게 보이다 秋夜書懷示冥順二小師316
폐사가 된 회암사 檜岩廢寺317
석주의 운을 써서 준 상인에게 주다 用石洲?贈俊上人318
봄날 저녁 만휴와를 생각하다 春暮憶萬休窩319
다섯째 표질 정시필의 초가집에 부치다 寄題}表姪鄭五【時弼】茅亭320
가을날 사군 이봉징과 참의 이옥을~ 秋日奉陪使君李鳳徵參議李沃遊松廣寺321
삼은 사군, 박천 학사와 밤에 앉아 연구를~ 與三隱使君?泉學士夜坐聯句324
또 又325
삼은 사군이 부채 두 자루를 보내 주고~ 三隱使君寄扇二柄兼示以詩次?326
삼은 사군과 동박천 학사에게 받들어 주다 奉寄三隱使君兼東?泉學士327
경 스님이 화 수좌에게 준 시에 차운하다 次瓊老師贈和首座?328
책 읽는 학생들에게 보이다 示讀書諸生329
고부 군수 정 사군의 만일사 유람시에 공경히~ 敬次古阜鄭使君遊萬日寺?330
붓을 날려 삼십 운을 지어 형 사미에게 주다 走筆三十?贈?沙彌331
주 / 334

백암집 하권 栢庵集下

문文-70편
신영당기新影堂記361
순창 영축산 축암사 불전 중수기 淳昌靈鷲山鷲岩寺重修佛殿記364
금산 비장암 독의루기金山臂長菴獨倚樓記367
『애련집』 서 愛蓮集序370
명천 칠보산으로 돌아가는 지즙 상인을~ 送智楫上人還明川七寶山序373
백련사로 가는 칠봉 인 공을 전송하는 시의 서 送七峰印公?住廬白蓮社詩序375
백아산 금선대 상량문白鵝山金仙臺上樑文377
징광사 수진실 상량문澄光寺垂眞室上梁文380
침굉헌에게 답하여 올리는 계 答枕肱軒啓381
전라감사가 보낸 쌀과 필묵에 감사하며 받들어~ 奉謝湖伯賚米及筆墨啓385
수월암 주인에게 보내는 통계 通水月庵主啓387
서석산 한 대사에게 회신하는 계 回瑞石閑大師啓389
영남으로 유람하는 욱 상인을 전송하는 서 送旭上人遊嶺南序394
[야유당십경]을 차운한 시의 인 次野幽堂十景詩?引396
석교 권화소石橋勸化?398
조계산 송광사 보조국사비 중수 경참소 曹溪山松廣寺重竪普照國師碑慶懺?400
다시 짓다 又403
식 상인이 죽은 스승을 천도하는 소 湜上人薦亡師?404
영 상인이 죽은 부친을 천도하는 소 英上人薦亡父?405
성변 의준을 대신하여 스승을 천도한 소 代性卞義俊薦師?406
섣달그믐날 밤 소 除夜?408
남을 대신하여 모친을 천도한 소 代人薦母?409
나한재 소를 대신 짓다 羅漢齋?【代人】410
『화엄경회편소초』를 다시 간행한 낙성식~ 重刊華嚴經會編??落成慶懺?411
희경 상인을 대신하여 스승을 천도하는 소 代希敬上人薦師?413
보조국사의 사리를 봉안하는 소 奉安普照國師舍利?416
취미 대사 천도소 薦翠徵大師?418
다시 짓다 又420
죽은 스님의 천도소를 대신 짓다 薦亡師?【代人作】422
순 스님이 어머니를 천도하는 칠칠재 소를 대신 짓다 代順師薦母七七?424
김 집의에게 보내는 편지 寄金執義書426
조 진사에게 주다 與趙進士427
조 지평에게 회신하는 편지 回趙持平書428
조 양양에게 올리는 편지 上趙襄陽書429
유 방백에게 답하다 答柳方伯430
박 운사에게 보내다 寄朴運\使432
조 수찬에게 보내다 寄趙修撰433
낭선군에게 올리다 上朗善君434
낭원군에게 올리다 上朗原君435
남 상서에게 올리다 上南尙書436
홍 해주자사에게 보내다 寄洪海州437
김 수찬에게 보내다 寄金修撰438
최 응교에게 보내다 寄崔應敎439
김 상국에게 올리다 上金相國440
유 관찰사에게 보내다 與柳巡相441
취암 장로에게 보내다 與翠巖長老442
회계 도인에게 보내는 편지 與檜磎道人書443
구봉에게 보내다 與龜峯445
양 참봉에게 보내다 與楊參奉書447
구봉 보현사 승려에게 보내다 與九峰普賢寺僧448
오 석사에게 답신하다 復吳碩士450
삼은 사군에게 편지 보내다 柬三隱使君452
이 대사간에게 보내다 寄李大司諫453
호남 영광군 구봉산 보현사 연기기湖南靈光郡九峯山普賢寺緣起記454
모악산 해불암기母岳山海佛庵記460
정 염서 거사의 일출암기 丁念西居士日出庵記464
정토사기淨土社記466
호남 담양 법운산 옥천사 사적湖南潭陽法雲山玉泉寺事蹟468
홍주 팔봉산 용봉사의 새 누각 기 洪州八峯山龍鳳寺新樓記476
천봉산 자수암의 새로 수리한 동쪽 정자 기 天鳳山慈壽庵新理東亭記478
지리산 쌍계사의 대웅전과 팔영루 중수기 智異山雙溪寺重修大雄殿及八?樓記480
신흥사를 중건하는 권선문 重建神興勸文482
신흥사의 기와 굽는 가마를 만드는 권선문 神興寺燒瓦?勸文483
전일암의 불기와 놋쇠솥에 시주하라는 글 錢日庵化供佛器鍮?文484
봉갑사 천불을 조소하는 권선문 鳳寺雕塑千佛勸文485
함평 용천사 숙석 보루와 섬돌의 권선문 咸平龍泉寺熟石壘階勸文487
낙안 남쪽에 다리를 잇는 권선문 樂安治南斷橋架橋梁勸善文489
경기도 양성 북쪽 소사의 석교 권선문 京畿陽城治北素沙石橋勸文491
조계산 보조국사비와 부도전을 새로~ 曹溪山普照國師碑浮屠殿新建勸善辭493
구례 화엄사의 장륙전과 불상 조성의~ 求禮華嚴寺重建丈六殿兼造像勸文495
팔영산 능가사 팔상전 권연소八影山楞伽寺八相殿勸緣?499
지리산 내원암 제명기智異山內院庵題}名記502
주 / 504
찾아보기 /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