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병'' 개념 어휘의 변천
1장 ''병''의 일상 개념사적 접근 = 23
위생 개념인가, 병 개념인가 = 23
어떻게 병 개념을 추출할 것인가 = 25
병 개념의 요소와 그 연결망 = 29
이 책의 구성과 내용 = 32
2장 19세기 이전의 일상적ㆍ의학적 ''병'' 개념 변천사 = 35
''병''이라는 단어의 기원 = 38
『훈몽자회』의 병 개념 = 42
『17세기 국어사전』의 어휘로 본 민간의 병 개념 = 46
『방언유석』으로 본 18세기의 병 개념 = 56
『동의보감』의 병 개념 = 64
3장 서양의 ''병'' 개념 수입과 일상적 정착 = 84
18∼19세기 조선에 수입된 서양 의학에 대한 인식 = 86
1866년, 근대 서양 의학의 병 개념이 소개되다 = 91
제중원, 서양식으로 병을 분류하다 = 101
서양 의학적 병 분류와 병명의 공식화 = 106
서양식 ''병'' 어휘의 정착과 ''병'' 정의의 변천 = 115
2부 전염병과 위생 개념의 변천
1장 괴질, 호열자로 명명되다 = 145
''쥐통''에서 ''콜레라''로 = 145
''괴질''의 끔찍한 이미지 = 151
''괴질''의 정체가 밝혀지다 = 155
2장 마마와 천연두 : 병 개념의 숙명적 대결 = 160
『큰사전』의 천연두 관련 어휘들 = 160
''두창(痘瘡)''과 ''역질(疫疾)'' = 166
''두신''과 ''마마'' = 169
천연두와 시두, 종두와 우두 = 176
『구마검』: 의학과 역신, 최후의 결투? = 183
3장 ''역병''에서 ''전염병''으로 = 191
''역(疫)''이란 무엇인가 = 191
역귀, 나례, 여제 = 195
전염병과 유행병 = 206
병독과 세균 = 215
4장 위생, 문명화와 식민주의의 양날 = 228
위생ㆍ건강ㆍ보건 개념의 사전적 정의 = 228
개항 이전의 섭생과 양생 개념 = 231
문명 담론을 수반한 위생 개념의 등장 = 237
위생, 국가의 부강과 인민의 권리 = 244
대한제국 말기의 위생 계몽 운동과 문명인 되기 = 250
위생경찰의 식민지인 몸 관리 = 253
동학과 천도교의 수양과 위생 = 259
3부 치료 의학과 병자 개념의 변천
1장 "환자는 이제 병원으로 오시오" : 병원과 의원 = 267
''병원''이라는 낯선 단어의 등장 = 267
제중원, 조선 최초의 서양식 병원 = 269
『서유견문』에 나타난 프랑스의 병원 = 271
병원, 마침내 공식성을 획득하다 = 273
의원의 변화 = 277
2장 정통ㆍ미숙ㆍ미신 : 치병 시술자 개념의 대변화 = 281
무(巫)ㆍ점(占)ㆍ의(醫)의 장기 지속적 공존 = 281
서양 의학의 등장과 의(醫) 개념의 재편 = 295
무(巫)와 점(占), 미신으로 규정되다 = 311
3장 병자, 권력이 깃드는 곳 = 315
대비ㆍ혜민ㆍ제중, 병자와 불교ㆍ유교 = 316
자혜, 병자에 대한 일본의 식민주의적 관심 = 319
자선, 기독교의 병자에 대한 제국주의적 관심 = 324
4장 절망병(絶望病)과 희망단(希望丹) : 우국 담론의 분출 = 332
개항 이전 ''의국''과 ''국병'' 담론 = 332
지석영의 해원설분탕(解寃雪忿湯) = 339
『독립신문』의 ''대한 사람의 병통'' = 341 유인석의「국병설(國病說)」 = 347
식민지화 과정과 국병 담론의 분출 = 349
5장 신재효와 나도향의 작품 속 병 표상의 차이 : 병고와 근대 개인의 탄생 = 361
''염병할'' 저주받은 여러 군상,「변강쇠가」 = 363
용왕의 병과 충효,「토별가」 = 368
안맹ㆍ기적ㆍ치유,「심청가」 = 374
몸의 장애와 마음의 장애,「벙어리 삼룡이」 = 379
육체ㆍ정신ㆍ사회의 병 그리고「피 묻은 편지 몇 쪽」 = 381
병ㆍ죽음ㆍ근대적 개인의 탄생,『환희』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