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Ⅰ. 머리말 = 11
1. 연구 목적 = 11
2. 연구사 검토 = 16
3. 연구 대상 및 방법 = 30

Ⅱ.〈숙영낭자전〉이본 현황 및 서지 검토 = 41
1. 이본 현황 = 42
1) 필사본 = 42
2) 방각본 = 49
3) 활자본 = 50
2. 서지 검토 = 54

Ⅲ.〈숙영낭자전〉의 공간 형상과 이본 유형 = 72
1.〈숙영낭자전〉서사 분석 = 73
1)〈숙영낭자전〉의 서사 단락 = 73
(1) 적강과 결연 = 78
(2) 모해와 죽음 = 86
(3) 재생과 승천 = 91
2) 여성의 삶과 공간의 문제 = 97
2. 여성 공간의 형상과 이본 유형 = 103
1) 여성 공간에 대한 상상과 재현 = 105
(1) 이상적 여성 공간 = 106
(2) 예속적 여성 공간 = 113
(3) 여성 공간의 전망과 가능성 = 118
2)〈숙영낭자전〉의 이본 유형 = 125
(1) 천상공간지향형 = 130
(2) 가정공간지향형 = 140
(3) 이상공간지향형 = 146
(4) 이념공간지향형 = 154

Ⅳ.〈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공간과 세계인식 = 162
1. 여성의 삶에 대한 공간적 사유 = 163
1) 부정적 현실 인식과 천궁 = 164
2) 가족 화합의 지향과 집 = 170
3) 여성적 공간의 모색과 죽림동 = 174
4) 가부장제의 강화와 시집 = 178
2. 소설 향유를 통한 정서적 소통 = 184
1) 낭만적 사랑의 감성 공유 = 185
2) 삶의 위안과 비극의 극복 = 193
3) 자기 위로와 희망의 접속 = 200

Ⅴ.〈숙영낭자전〉과 여성ㆍ문화ㆍ소통 = 212

Ⅵ. 맺음말 = 225

[보론] 판소리〈숙영낭자전〉의 서사 변주 양상과 의미 = 233
[부록 1]〈숙영낭자전〉이본 목록 = 264
[부록 2] 슈경옥낭자전니라 = 275
참고문헌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