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인류의 역사는 질병과 의학의 역사 = 4


제1부 의학의 세계가 열리다
질병과 신을 떼어놓다 : 합리적 의학의 탄생, 히포크라테스 = 15
Special Tip : 신 앞에 맹세하리! = 23
주술을 멈추고 한의학의 세계를 열다 : 동아시아 최고의 의학 경전, 『황제내경』 = 25
Special Tip : 자연에 순응하라 = 32
의학계의 아리스토텔레스 : 서양 의학의 집대성, 갈레노스 = 33
Special Tip : 너무나 과학적인 갈레노스의 수술 = 41
동아시아 의학을 관통하는 지도 : 동양 의학의 집대성, 『동의보감』 = 42
Special Tip : 가히 ''동의''라 할 만하다! = 50


제2부 몸과 의학에 대한 새로운 탐구
병 원인은 별들에게 물어봐 : 파라켈수스의 도전 = 55
Special Tip : 연금술을 모르는 의사는 진정한 의사가 될 수 없다? = 63
300년 전 성직자도 직업병 앓았다 : 노동의학의 시조, 라마치니 = 65
Special Tip : 노동계급에 속하는 환자를 진찰할 때는… = 72
누가 더 근대적이었나? : 데카르트와 하비 = 74
Spercial Tip : 심장에 대해 쓴 것을 헌정합니다 = 81
인체 해부로 의학의 새 시대를 열다 : 해부병리학의 탄생, 베살리우스와 모르가니 = 82
Special Tip :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책에 대하여 = 90
몸을 두드려라 병이 답하리라 : 근대 임상의학의 사유방식, 시드넘과 아우엔브루거 = 94
Special Tip : 의술은 실천과 경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 103
수술칼을 든 이발사, 히포크라테스를 넘다 : 외과의 근대화, 파레와 헌터 = 105
천연두의 완치, 그 출발점은 동양 의학 : 제너와 종두법 = 114
Special Tip : 천연두의 감염으로부터 보호받는 길 = 122
한의학에도 외과수술이 있었다 : 동아시아의 해부학 = 123


제3부 19세기 의학 지식, 과학을 만나다
진정한 실험의학자는 철학자여야 한다 : 실험의학의 기반을 다진 베르나르 = 135
Special Tip : 의학의 진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실험적 비판이다 = 142
우리 몸은 세포들의 공화국 : 사회의학의 원조, 피르호 = 145
Sprcial Tip : 의학의 임무는 평화의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다 = 153
기념비적인 연구, 그리고 뛰어난 정치력 : 세균학을 개척한 파스퇴르 = 155
Special Tip : 파스퇴르의 진정한 라이벌, 코흐 = 164
고통은 재앙일 수도 축복일 수도 있다 : 고통과 마취의 역사 = 166
Special Tip : 외과수술의 고통에서 인류를 구원하다 = 173
사회적 관점에서 건강과 질병을 바라볼 때 : 위생개혁운동, 채드윅과 비예르메 = 175
Special Tip : 19세기 산업화의 그늘 = 182


제4부 근대의 길에 들어선 한의학
한국 고유 의학의 등장 : 이제마의 사상의학 = 187
Special Tip : 사상의학에 대한 한의학계의 시각 = 193
알렌과 지석영 뒤에 숨은 제국주의의 메스 : 서양 근대의학의 수입 = 195
위생경찰, 식민지 조선의 통치 기반 : 일제강점기의 위생경찰 = 202
Special Tip : 식민지 위생경찰의 주요 업무 = 209
한의학 ''열등생'' 취급 이의 있소! : 1930년대 한의학-서양 의학 논쟁 = 210
동서 의학의 회통을 꿈꾸다 : 최한기의 의학사상 = 218
Special Tip : 세 차원의 한열건습이 있다 = 226


제5부 의학의 발전과 사회화의 길
살아 있는 사람의 몸 안을 들여다보다 : 엑스선의 발견 = 229
Special Tip : 새로운 선의 존재에 대하여 = 236
과학과 인문학이 통하는 길 : 끝나지 않은 면역 논쟁 = 237
Special Tip : 몸속 작은 생명체가 주는 의미 = 245
마루타의 권리선언 : 생명의료윤리의 대두, 「뉘른베르크 강령」과 「헬싱키 선언」 = 247
Special Tip : 「헬싱키 선언」의 주요 조항들 = 255
히포크라테스 ''선서''만 있고 ''정신''은 없다 : 한국 의철학의 과제 = 260
Special Tip : 인생은 짧고 의술은 길다 = 267


필자별 목차 = 269

4명의 의학인문학자가 추천하는 참고도서 = 271

찾아보기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