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 3
총설 :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 13

1부 전통사회의 삶과 구비문학
이야기판과 이야기, 그리고 민중 = 33
1. 이야기와 삶 = 33
2. 이야기판의 국면들 = 34
3. 이야기판과 이야기문화 : 인문적 경험의 현장 = 40
3.1. 이야기판, 그 생활문화적 교육현장 = 40
3.2. 이야기판, 문학교육의 현장 = 42
3.3. 이야기판과 담론의 형성 및 유포 = 46
4. 이야기, 민중이 구축한 세계 = 47

사대부의 삶과 이야기문화 = 53
1. 이야기와 사대부 문화 = 53
2. 가문 이야기판과 사대부 가문의 지속 = 54
2.1. 사대부 가문의 여성 = 54
2.2. 사대부 가문의 남성 = 59
3. 사대부 사회의 이야기판과 사대부의 언어감각 = 63
4. 이야기를 통한 사대부 경험의 확장 = 67
5. 조선후기 사대부의 이야기 향유와 서사의식의 형성 = 69
6. 이야기판의 복구를 위하여 = 74

여성의 삶과 설화문학 = 77
1. 할머니의 안방 교과서 = 77
2. 여자로 사는 이야기 : 현실의 지도책 = 81
3. 웃음꽃이 활짝 피는 그 곳 : 삶과 생활의 활력소 = 84
4. 경험담의 문학화를 통한 주체적 세계인식 = 86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행복관 = 93
1. 세 선비의 소원 = 93
2. 장수에 대한 소망 혹은 비명(非命)에 대한 회피 = 94
3. 빈천한 삶의 탈피와 부귀에 대한 소망 = 99
4. 다남(多男) 혹은 자손번창에 대한 소망 = 102
5. 오복관념의 진실 혹은 가르침 : 무수옹(無愁翁)의 행복 = 104

민요에 나타난 민족의 삶과 정서의 표현 = 111
1. 노래와 삶 = 111
2. 민요에 나타난 삶의 모습들 = 112
3. 민요에 나타난 민족정서의 표현 = 127
4. 삶과 정서의 노래화의 전망 : 조선후기 상황의 점검을 통해 = 132

무가, 그리고 민족의 삶과 문화 = 137
1. 한국인의 삶과 굿 = 137
2. 무가, 그리고 민족의 삶 = 140
3. 무가, 그리고 민족의 문화 = 151
4. 오늘날의 현황 = 153

판소리, 그 전성시절의 풍경 = 157
1. 광대소리의 하나로서의 판소리 = 157
2. 문희연, 그 화려한 잔치 = 159
3. 8명창 시절 = 168
4. 판소리의 후원자들 = 173
5. 오늘날, 판소리를 돌아보며 = 176

2부 구비문학 전통의 현대적 변용
현대소설과 설화의 만남, 그리고 그 가능성 = 181
1. 현대소설의 설화에 대한 관심 = 181
2. 현대소설에서 설화의 수용양상 = 183
2.1. 문헌·구전설화의 실제적 재현 = 185
2.2. 현재의 이야기로 되살아난 설화들 = 192
2.3. 설화의 세계와 현재 이야기의 병치 = 197
2.4. 소설의 한 부분으로서 설화 = 200
3. 소설 창작의 열린 가능성 = 201

전래동화 출판과 설화문학의 현대적 수용 = 203
1. 구비문학과 아동문학의 접점, 전래동화 = 203
2. 전래동화 출판과 그 현황 = 208
3. 설화문학의 수용과 재화·재창작의 문제 = 212
3.1. 전래동화와 옛이야기 = 212
3.2. 재화와 재창작 = 213
3.3. 장르 확장 = 215
4. 전래동화의 구비문학적 전망과 과제 = 217

넘치는 신명, 굿과 가면극이 오늘날 선 자리 = 221
1. 집단 신명의 남다른 전통 = 221
2. 오늘날 굿이 선 자리 = 223
2.1. 집단 신명의 전통과 굿 = 223
2.2. 굿의 지속과 변모의 한 양상 = 226
2.3. 세습무집단의 와해와 굿의 위기 = 228
3. 오늘날 가면극이 선 자리 = 230
3.1. 집단 신명의 전통과 가면극 = 230
3.2. 가면극에서 마당극으로 = 231
4. 이어가야 할 신명풀이의 현장 = 236

창작 판소리의 새로운 길을 찾아서 = 239
1. 오늘날의 삶과 판소리 = 239
2. 창작 판소리의 허와 실 = 240
3. 판소리 창작의 방향 찾기 = 252
3.1. 몇 가지 명제의 설정 : 주로 문학적 측면에서 = 252
3.2. 기획 방안의 탐색 = 254
4. 판소리 창작의 한 시도 : 〈선녀와 나무꾼〉 = 257
4.1. 작품의 개념 = 257
4.2. 작품 사설(시안) = 260
5. 판소리의 화려한 부활을 위하여 = 265

무대에 오른 구비문학, 그 성과와 전망 = 269
1. 대중예술과 구비문학의 만남 = 269
2. 무대에 오른 구비문학 = 270
2.1. 구비설화를 현대극으로 = 270
2.2. 서사무가를 뮤지컬로 = 278
3. 무대 : 구비문학의 새로운 전승공간 = 284


3부 현대의 구비문학, 미래의 구비문학
현대신화의 양상과 그 이면 = 291
1. 기본 전제들 = 291
2. 고대신화와 현대신화 = 292
3. 현대신화의 양상들 = 296
3.1. 스타신화 = 296
3.2. 물신신화(物神神話) = 302
4. 현대신화의 이면(裏面) = 304
5. 자기 발견 기제로서의 현대신화 = 307

현대 유머의 존재양상과 미적 특성 = 309
1. 유머 세상 = 309
2. 유머의 문학성에 대한 논란 = 311
3. 현대 유머의 존재양상 = 315
4. 현대 유머의 미적 특성 = 323
4.1. 분방의 미학 = 326
4.2. 해체의 미학 = 327
4.3. 복제의 미학 = 329
4.4. 놀이의 미학 = 330
5. 유머는 재미있다 = 332

사이버 판타지, 그 현실과 심층 = 335
1. 매체의 출현과 언어예술의 판도 = 335
2. 한국 사이버 공간의 한 양상 : 사이버 판타지의 활황 = 337
3. 사이버 판타지의 특성 = 341
3.1. 문자 언어를 넘어서 = 341
3.2. 공동작과 개인작 사이 : 사이버 판타지의 작가 = 346
4. 사이버 공간과 판타지의 조우 = 348
5. 황무지와 원시림 = 352

민요와 대중가요의 만남을 위하여 = 355
1. 민요와 대중가요의 만남을 위한 전제 = 355
2. 공동체문화와 민요 = 357
3. 대중문화와 대중가요 = 361
4. 민요와 대중가요의 만남 : 민요의 재생과 변주 = 365
5. 민요와 대중가요의 행복한 만남을 꿈꾸며 = 374

현대 영상예술과 구비문학 = 377
1. 구비설화, 그리고 영화와 드라마의 이야기판 = 377
2. 〈태조 왕건〉과 〈가을동화〉, 그 신화적 편린 = 379
3. 아더와 로빈 후드, 파우스트와 돈 주앙 = 382
4. 설화와 영상, 구비성의 시대로 = 388
5. 상상력의 영상화를 기대하며 = 397

참고문헌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