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중화세계관이 그린 조선 지성사의 궤적을 좇아서 = 4
프롤로그 : 중화를 바라보는 시선 = 14

1부 ''위대한 청나라''와 ''문명의 계승자'' 사이에서
1장. 삼전도비는 조선 지식인에게 무엇이었나 = 33
마푸타와 범문정, 조선을 압박하다 = 33
비석의 건립과 그 영향 = 47
2장. 김수홍의 지도, 중화세계를 꿈꾸다 = 66
두 장의 지도, 세계관의 표현과 역사의 기억 = 66
중화세계와 그 주변, 그리고 미지의 땅 = 80

2부 지리와 풍토론은 어떻게 중화관을 형성했는가
1장. 풍토와 소중화의 맹아 = 93
화(華)와 이(夷) 혹은 단군과 기자 = 93
제후국 조선은 제천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 109
2장. 풍토와 언어 = 124
훈민정음ㆍ중국어의 위상과 중화관 = 124
중화의 정음과 중국어 그리고 만주어 = 141
3장. 풍토론의 전개와 중화관의 내면화 = 155
지리적 중화관과 풍토부동론 = 155
새로운 풍토론의 등장과 중원대륙의 위상 = 167
전횡도에 담긴 시선과 논리 = 182

3부 조선은 왜 만주 지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1장. 국제질서와 만주 지리의 중요성 = 195
영고탑 회귀설과 정치적 위기감 = 195
만주 지리 지식의 확장 = 206
변경의 치안과 지리적 관심의 이동 = 221
2장. 청나라 지리지에 나타난 백두산과 주변 하천 = 233
성경지 계열의 백두산과 주변 하천 = 233
《황여전람도》계열의 백두산과 주변 하천 = 241
지리 정보의 불일치와 혼선 = 251

4부 변경과 역사적 고토는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1장. 변경과 국경 = 259
만주어 변경 지명의 번역 = 259
청나라 지리 정보의 영향과 전통 지리 지식의 변용 = 267
역사적 지명과 국경 = 277
2장. 누가, 왜 고토를 회복해야 하는가 = 293
고토의 지리를 고증한 이유 = 293
고토 회복론이 제기된 배경과 맥락 = 303
고토 회복론의 그림자 = 317

5부 중국 밖의 세계와 지리적 시야의 확대
1장. 중화문화의 경계로서의 유구 = 331
중국이 기억하는 유구 = 331
조선이 기억하는 유구 = 342
잊혀간 중화문화 국가, 유구 = 347
2장. 하이, 또 다른 위기 가능성 = 354
일본 지도와 하이에 관한 지리 정보 = 354
서구식 세계지도와 하이 = 368
3장. 중화 밖 세계로 지리적 시야를 확대하다 = 378
《강리도》와 그 사본들의 제작 = 378
서구식 세계지도가 전래될 수 있었던 맥락 = 392

6부 세계의 인식과 지리적 중화
1장. 명청대 중국의 세계 인식 = 409
세계지도에 대한 생각 = 409
전통적 이역으로서의 서양, 새로운 이역으로서의 서양 = 415
『고금도서집성』의 세계 인식 = 418
2장.『지봉유설』이 구성한 외국 세계 또는 ''서역'' = 426
중국사에서 확인되는 나라들 = 426
미지의 나라들 = 437
새로운 이역, 유럽으로서의 서양에 대한 인식 = 449
3장. 세계에 관한 동양적 모델과 천하도 = 458
동양 고전은 어떻게 세계를 구성했을까 = 458
''바다 밖의 땅'' 혹은 ''바다로 둘러싸인 땅'' = 466
천하도의 탄생 = 473
4장.『환영지』가 구성한 세계 = 484
마테오 리치의 지도에 대한 오해 = 484
세계지도의 변용과 새로운 세계상 = 494
위백규가 『지봉유설』을 끌어들인 이유 = 503

7부 중화세계관이 그린 마지막 궤적
1장. 김정규, 공자를 들어 조국을 가리키다 = 515
변경의 유학 지식인, 고유문화와 ''한국 사상''을 자각하다 = 515
공자의 가르침이냐, 조국의 독립이냐 = 532
2장. 유인석, 유교적 동양론을 제기하다 = 546
조선은 황제국이 될 수 있는가: 중화세계와 화동(華東) = 546
중화문명의 수호와 전략적 제휴 대상으로서의 청나라 = 557
중화론의 마지막 궤적, 유교적 동양론의 탄생 = 563

에필로그 : 중화세계관이 그린 궤적을 맥락적으로 독해하기 = 573
찾아보기 = 598


펼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