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언어와 문학의 소통을 바라며 / 최대석[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 = 5

총론: ''북한 문학''이 변하고 있다 / 오창은 = 13

김사량론: 인민 문학으로의 모색과 전회-「칠현금」 / 유임하 = 19

박태원론: 민중의 역사와 그 소설화-『갑오농민전쟁』 / 임옥규 = 43

천세봉론: 도식성과 좌절된 자기 모색-『고난의 력사』 / 김은정 = 65

김병훈론:
1. 사회주의 낙원을 향한 당과 인민의 제휴-「길동무들」 / 김은정 = 103
2. 청년과 열정, 감화의 이야기 방식-김병훈의 천리마운동 소재 소설 / 유임하 = 128

오영재론: 분단 극복의 시적 행로-『행복한 땅에서』, 『대동강』 / 노귀남 = 143

홍석중론:
1. 홍석중의 역사 소설과 남북 교류의 의미-역사 소설 / 이상숙 = 168
2. 『황진이』의 ''낭만성''-『황진이』 / 오태호 = 188

한웅빈론: 실리사회주의의 냉소적 자화상-『우리 세대』 / 전영선 = 211

최학수론: 천리마 시대의 개막과 평양의 근대적 시간-『평양시간』 / 오태호 = 247

남대현론: 남대현, 코리아 문학 통합의 시금석-『청춘송가』 외 / 김성수 = 281

백남룡론: 주체의 균열과 욕망-『60년 후』와 『벗』 / 고인환 = 301

리원우론: 팬터지 동화의 씨앗-『행복의 집』 / 이재복 = 322

김세륜론: 사회주의 원더랜드를 꿈꾸기-「유원지에서의 하루」 / 이명자 = 341

에필로그: 북녘의 문학 대표 작가를 논의하는 첫 번째 결실 / 유임하 = 368
찾아보기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