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4
축사 = 6
평신도가 자발적으로 천주교를 받아들이다 = 10
유교사회를 비춘 새로운 빛 = 12
''한역서학서''를 통한 천주교와의 만남 = 14
조선 지식인들의 천주교 이해와 주어사ㆍ천진암 강학회 = 16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 = 20
첫 번째 시련 = 22
가성직제도의 운영과 성직자 영입운동 = 24
조상 제사 금지령과 신자들의 반응 = 26
윤지충ㆍ권상연의 순교 = 28
최초의 선교사 입국과 활동 = 30
박해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다 = 32
전국 규모의 첫 번째 공식 박해 - 신유박해 = 34
박해의 여파 = 38
성직자가 없는 시기에 신앙의 터전이 된 교우촌 = 40
성직자 파견 청원 = 44
을해박해와 정해박해 = 46
정하상의 활동과 성직자 영입 추진 = 48
조선 대목구 설정과 지속되는 박해 = 50
조선 대목구의 설정 = 52
초대 대목구장의 입국 시도 = 54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의 입국과 활동 = 56
기해박해 = 60
최초의 현지인 신부 김대건 = 64
백색 순교자, 두 번째 신부 최양업 = 68
신심회의 활동과 신학교의 설립 = 72
베르뇌 주교의 활동 = 74
조선시대의 최대 박해 = 78
교회 재건을 위한 노력들 = 84
문호 개방기의 미명(未明) 속에 성장하는 교회 = 86
선교와 신앙의 자유 획득 = 88
개항기의 조선 천주교회 = 90
학교의 설립 = 94
사회복지사업과 수녀회의 진출 = 96
신앙생활의 정비 = 100
교안의 발생 = 104
한국 천주교회, 어둠을 뚫고 성장하다 = 108
국권 회복운동 = 110
교세의 확산과 교구 분리 = 114
새로운 선교회의 진출과 활동 = 118
수도회의 진출과 활동 = 120
순교 복자의 탄생과 문화 활동 = 122
조선 총독부의 종교정책 = 126
한국인 주교의 임명 = 132
해방시기의 교회 = 134
세상 안에서 빛과 소금이 되다 = 138
한국 전쟁의 피해 = 140
복구를 위한 노력 = 142
정치와 교회 - 교계제도의 설정 = 146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여파 = 152
한국 천주교회의 사회 참여 = 154
103위 한국 성인의 탄생과 세계성체대회 = 158
사회에 대한 교회의 응답 = 162
제3 천년기를 시작한 교회 = 170
한국교회사연구소는 =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