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슬람 학교 1]

서문

제1강 이슬람의 탄생
이슬람에 대한 이미지 l 이슬람에 다가가는 첫걸음 l 아랍과 중동은 다른 개념 l 이슬람 인구 70%는 아시아에 l 동양도 서양도 아닌 ‘중양’이란 개념 l 오리엔트에 축적된 문명 l 오리엔트를 가르치지 않은 우리 역사 교육 l 이슬람의 등장
IS는 누구인가?
핵심 전력은 사담 후세인 잔당 l 서방의 막대한 지원을 받는 시리아 반군의 핵심 l 인터넷과 SNS를 통한 심리전 l IS가 쉽게 궤멸되지 않는 이유 l 김 군의 두 갈래 길

제2강 선지자 무함마드 이야기
몇 가지 질문들 l 비잔틴과 페르시아 제국을 끌어안다 l 유럽에 진출한 이슬람 l 탈라스 전투와 중국 문명과의 만남 l 동서남북으로 뻗어나간 이슬람 제국 l 이슬람 제국의 확장 l 이슬람의 성공 비결은 조세혁명 l 화합과 평등을 내세운 내치 시스템 l 이슬람의 소수민족 포용 정책 l 무함마드의 등장 l 무함마드의 탁월한 협상력 l 무함마드가 받은 계시 l 꾸란의 탄생 l 무함마드의 부인들

제3강 이슬람은 무엇을 믿나요?
예수와 무함마드 l 꾸란이 말하는 알라와 예수 l 예수를 버린 유대교와 유럽과의 갈등 l 기독교의 예수와 이슬람의 예수 l 꾸란의 개경장 l 꾸란에 등장한 예수 l 이슬람과 기독교의 구원관 l 메카 계시와 메디나 계시 l 수니와 시아

제4강 이슬람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이슬람 여성, 무슬림 여성, 이슬람 사회의 여성 l 아랍과 이슬람은 다르다 l 일부다처와 여성 할례 l 아내를 보호하기 위한 결혼지참금, 마흐르 l 명예살인을 하게 만드는 사회적 압박 l 여성의 머리를 가린다는 것 l 이슬람 여성의 미래 l 이슬람 사회의 통과의례 l 이슬람의 이혼 l 이슬람의 장례식 l 이슬람의 여성관 l 이슬람의 성 문화 l 이슬람 여성의 일상




[이슬람 학교 2]

서문

제5강 찬란한 이슬람 문명
페르시아와 비잔틴을 단번에 포용한 이슬람 l 이슬람 문명의 지식엔진 ‘바이트 알히크마’와 이슬람 르네상스 l 바그다드발 르네상스가 유럽에 전파된 경로 l 왕조, 왕국, 제국 l 아랍에서 꽃핀 학문 l 받아들이되 자기 것으로 만들다 l 우리 일상에 자리 잡은 이슬람 문화 l 이슬람과 커피 문화 l 유럽의 식민지 경영과 커피 플랜테이션 l 서구와 이슬람의 만남 l 유럽에 르네상스를 선물한 톨레도 l 유럽의 이슬람 연구

제6강 이슬람 극단주의의 기원
지배-피지배의 역사적 트라우마 l 십자군 전쟁으로 만난 이슬람과 서구 l 제1차 세계대전 패배와 오스만 제국의 종말 l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l 유대인의 역사와 중세 유럽의 박해 l 근현대 유럽 사회의 유대인 박해 l 후세인-맥마흔 비밀조약 l 밸푸어 선언과 사이크스-피코 조약 l 팔레스타인과 민족자결주의 l 홀로코스트의 배경 l 미국을 장악한 유대인 l 트루먼이 앞장선 이스라엘 건국 l 시온주의자들의 테러와 학살 l 끝없는 팔레스타인 분쟁의 시작 l

제7강 이슬람 문화와 비즈니스
오아시스의 생태계 l 낙타의 방정식 l 돼지가 금기가 된 이유 l 중동-아랍 문화의 특성 : 느린 시간 l 중동-아랍 문화의 특성 : 말하는 문화 l 아랍의 일반적인 관습l 할랄 고기와 할랄 산업 l 유망한 중소 산업 분야들

제8강 이슬람, 테러 그리고 석유
리비아와 시리아 난민 문제 다이제스트 l 서구와 이슬람 그리고 석유 l 알 카에다의 실체와 성장 l 대테러 전쟁의 시작 l 아랍 민주화와 리비아, 시리아 사태 l IS와 테러 문제 l 석유의 발견 l 중동과 석유 l 카다피의 새로운 석유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