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_13

[1부]글씨로 마음을 전하다

서법전심 [ 書法傳心 ]글씨(書)는 마음을 전하는 것이다._20
호지자불여락지자 [ 好之者不如樂之者 ]글씨는 즐겁게 써야 성취할 수 있다._23
불치하문 [ 不恥下問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이 필요하다._26
곡돌사신 [ 曲突徙薪 ] 글씨도 미리 실패의 화근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_29
삼계 [ 三戒 ]글씨의 학습과정에서 경계해야 할 세 가지._32
득심응수 [ 得心應手 ]마음에 따라 손이 응해야 한다._36
행이불저 [ 行而不著 ]왜 그렇게 써야만 하는지 이유를 밝히고 살펴라._39
아즉불가 [ 我則不暇 ]글씨를 배울 때는 남을 평가할 겨를이 없다._42
인십기천 [ 人十己千 ]남이 열 번 쓰거든 천 번을 써라._46
래자불거 [ 來者不拒 ]흘러가고 흘러오는 필세(筆勢)를 막지 마라._49
발묘조장 [ 拔苗助長 ]캘리그라피는 숙성의 시간이 필요하다._53
구즉궁 [ 久則窮 ]오래되면 궁해진다._56
과이불강 [ 果而不强 ]내가 인정받고 싶거든 남을 먼저 인정하라._60
시이불견 [ 視而不見 ]글씨를 보는 눈은 마음을 다해 정확하고 예리하게._63
가이불반 [ 可以弗畔 ]도리와 약속에 어긋나지 않는 글씨를 쓰라._66
검이불루 화이불치 [ 儉而不陋 華而不侈 ]글씨는 담백해야 한다._69
여민동락 [ 與民同樂 ]캘리그라피 대중과 함께 즐기다._72
기운생동 [ 氣韻生動 ]기운생동하려면 만권의 책을 읽고, 만리의 여행을 하라._75
일이관지 [ 一以貫之 ]글씨를 하나의 기운으로 꿰어라._78
득어망전 [ 得魚忘筌 ]글씨의 규구(規矩)로 입문한 다음 규구를 잊어라._81
자득 [ 自得 ]스스로 터득해야 단계에 올라설 수 있다._84
잡동산이 [ 雜同散異 ]배움에 체계를 세워야 한다._87
선각각후각 [ 先覺覺後覺 ]먼저 깨우친 사람이 나중에 깨우친 사람을 깨우쳐라._90
절차탁마 [ 切磋琢磨 ]캘리그라피는 기초가 중요하다._93
자강불식 [ 自强不息 ]쉬지 않고 노력하라._96
독서파만권 [ 讀書破萬卷 ]1만 시간의 법칙 vs 1만권의 독서._99
흥회 [ 興會 ]창작에 있어서의 우연욕서(偶然欲書)._102
필작어세 [ 必作於細 ]디테일이 강한 글씨가 좋은 글씨다._105
줄탁동시 [ ?啄同時 ]선생님은 꿰뚫어 볼 수 있는 눈이 있어야 한다._108
지백수흑 [ 知白守黑 ]글씨는 공간에 대한 설계가 중요하다._111
곤이학지 [ 困而學之 ]어느 순간 글씨(書)가 정체되면 배움으로써 풀어내야 한다._115
학광어성저 [ 學廣語聲低 ]잘 쓴 글씨는 조용하지만 울림이 있다._119
전불습 [ 傳不習 ]제대로 익혔는가._122
불분불계 [ 不憤不啓 ]열정이 없으면 노하우를 얻을 수 없다._125
법고창신 [ 法古創新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때는 근거가 있어야 한다._128


[2부] 글씨는 곧 그 사람이다

서여기인 [ 書如其人 ]글씨(書)는 그 사람과 같다._134
인서구노 [ 人書俱老 ]명필의 첫째 필수 조건은 장수(長壽)._137
근골혈육 [ 筋骨血肉 ]근골혈육을 갖춰야 비로소 글씨라 할 수 있다._141
대경대법 [ 大經大法 ]글씨(書) 쓰기의 대원칙은 공간의 균등이다._145
서가관식 [ 書可觀識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쓴다._149
의재필전 [ 意在前筆 ]뜻(구상)은 붓 앞에 있어야 한다._152
중궁수렴 [ 中宮收斂 ]캘리그라피에서 강조하는 법. 중궁수렴후 외획신전하라._155
필단의연 [ 筆斷意連 ]붓은 끊어져도 뜻은 이어라._159
노서 [ 奴書 ]표절인가 모방인가 아류인가?_162
오괴오합 [ 五乖五合 ]글씨(書)도 때(時)를 잘 맞추어야 한다._165
묵저 [ 墨猪 ]먹(墨) 돼지가 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_170
서귀입신 [ 書貴入神 ]글씨(書)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_174
혹세무민 [ 惑世誣民 ]수 천 년 역사에서 자신만의 서체를 만든 사람은 몇 명인가?_177
구생법 [ 九生法 ]글씨를 잘 쓰기위한 아홉 가지 조건._181
법외지공 [ 法外之工 ]글씨 공부의 요지는 글씨 공부 외(外)에 있다._186

에필로그_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