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제1부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주제적 양상

제1장 한국문학에서의 유가문학의 이념적 양상 - 이동환 / 17
제2장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 박희병 / 57
제3장 한국유학자의 문학사조와 문학 활동 - 심경호 / 121
제4장 유교문학사상과 현실비판의식의 문학적 형상 - 진재교 / 215
제5장 유교사상과 민중문학 - 조현설 / 269
제6장 유교문학사상과 자연 - 안대회 / 311
제7장 유교문학사상과 여성 - 이지양 / 351

제2부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시대적 양상 / 403

제1장 삼국.남북국시대의 유교문학사상 - 김성룡 / 405
제2장 고려 전기 유교문학사상 - 이혜순 / 439
제3장 고려 후기 사대부문학의 형성과 현실주의 - 김시업 / 473
제4장 조선 전기 문예정책과 관각문인의 문학사상 - 이종묵 / 547
제5장 조선 전기 사림.도학파의 문학사상 - 송재소 / 597
제6장 조선 후기 실학파의 문학사상 - 임형택 / 643
제7장 조선 후기 양명학과 문학사상 - 정우봉 / 711
제8장 조선 후기 중인층의 유교문학사상 - 윤재민 / 755
제9장 근대문학과 유교, 길항하는 흔적들:[서유견문]이라는 원천 - 최원식 / 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