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4

제1장 실학의 형성 = 11
1. 서양문물의 전래 = 13
1) 서학 관련 자료 = 16
2) 전래된 서양 문물 몇 가지 = 19

2. 실학의 탄생 = 23
1) 17세기 현실과 개혁의 대두 = 23
2) 상업의 발달과 사회상의 변화 = 27
3) 실학적 사유의 형성 = 33
4) 실학의 형성과 선구자들 = 42
5) 실학 형성기의 주요 저술 = 49

제2장 실학의 전개 = 63
1. 경세치용파 = 67
1) 경세치용의 학풍 = 72
2) <경세유포>와 주요자료 해설 = 74

2. 이용후생파 = 82
1) 이용후생의 학풍 86
2) <북학의>와 주요 자료 해설 = 89

3. 실사구시파 = 96

4. 조선학 = 99
1) 역사서의 저술 = 101
2) 역사지리서의 편찬 = 121
3) 어문학의 발달 = 125
4) 농서의 편찬 = 127
5) 실학자와 유서 = 132
6) 실학의 학문 방법 = 135

5. 실학과 연행사, 통신사 = 138
1) 중국 연행사 = 138
2) 실학자들의 연행과 서양과학 = 157
3) 실학자들의 연행과 문학, 예술 = 160
4) 조선통신사 = 164

6. 근대로의 가교 = 194
1) 최한기(1803~1877) = 196
2) 박규수(1807~1877) = 206

7. 중국의 고증학과 일본의 고학 = 209
1) 중국의 경세치용학과 고거학 = 210
2) 일본의 실심실학 =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