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1부 『무예신보』를 편찬한 사도세자의 꿈
- 사도세자는 무인세자인가?
- 사도세자는 담대한 무인 기질이었다
- 사도세자, 효종의 북벌론을 계승하다
- 조선 최초의 무예서, 『무예제보』의 발견
- 『무예신보』를 편찬한 사도세자의 꿈

2부 정조, 장용영에서 『무예도보통지』를 만들다
- 정조가 사도세자 현양 사업을 추진한 목적
-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사도세자 추숭
- 『무예도보통지』를 만든 사람들
- 『무예도보통지』의 시연자, 조선 최고의 협객 백동수
- 『무예도보통지』의 24기 무예
- 무예도보통지序
- 진설進說(경과보고서)

3부 정조, 호위부대를 만들다
- 정조의 즉위와 반대세력들의 견제
- 정조의 군제개혁 의지
- 정조 시해 음모와 숙위소 설치
- 홍국영의 역모와 숙위소 혁파
- 『정감록』을 신봉하는 홍국영 추종세력 역모사건
- 새로운 호위기구 장용위 설치

4부 정조, 마침내 장용영을 설치하다
- 성호의 친위군병론과 장용영
- 구선복의 역모와 장용영 설치
- 장용영 창설 목적 1: 친위군 강화
- 장용영 창설 목적 2: 균역법 혁파를 통한 민생안정
- 장용영 창설 목적 3: 북벌을 위한 군사력 증강
- 장용영 대장의 지위와 성향

5부 장용영, 조선의 최정예 군대
- 장용영의 직제 개편
- 장용영의 직제 구성
- 장용영의 확대와 수어청, 총융청의 합병
- 백성과 함께하는 장용영 마을
- 장용영에 대한 특혜
- 장용영의 훈련 - 바람으로 머리 빗고, 빗물로 목욕하라!

6부 화성에 장용영외영을 설치하라!
- 장용영외영은 왜 만들었는가?
- 장용영외영의 정비
- 정조의 만석거 축조와 대유둔 조성
- 만년제, 축만제 축조와 축만둔[서둔] 조성
- 장용영외영의 화성 방어와 어가 호위
- 장용영외영 협수군 체제
- 1795년 윤2월 화성행차와 백성들과 함께한 군사훈련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