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마운 이들에게
지은이의 말

1장 우리 신화를 우리말로 풀어볼까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밤의 이야기
고조선의 건국신화가 우주 탄생 신화로
해의 각시 박혁거세와 솟은 해 남해 차차웅
김대문과 금석학자들은 어떻게 이상한 신화를 만들었나
백제와 온조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

2장 그 멋진 말을 누가 바꿔치기했을까
우리말은 어떻게 사라졌지
도시화로 바뀐 말들
그럼에도 살아 숨 쉬는 우리말
세 살배기도 까막눈 할매도 알아듣는 말을 버리고
느끼는 말, 주고받는 말
우리말을 바로 한다는 것

3장 곱다는 높은 것, 밉다는 낮은 것이야
소리흉내말과 짓시늉말
우리는 소리에 예민한 사람들이었다
줄기줄기 자라난 빛깔을 가리키는 말
끼리끼리 어울리는 말
때와 곳을 함께 보는 말
‘있다’와 ‘없다’, ‘이다’와 ‘아니다’
일, 이, 삼이 아니라 한낟, 덛낟, ?낟

4장 우리 글에 우리말을 담아 서로에게 이어서
우리 글이 없었던 시절
시작은 한자 발음의 통일이었다
글자에 소리를 그대로 붙들어내다
심한 반대 속에서도 세상에 나오니
세종은 왜 불경을 먼저 옮겼을까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을 다시 읽으며
조선 언어학자 최세진, 한글을 다시 정리하다
조선어학회, 사전 만든다고 말 뭉치를 모았을 때

5장 더 많은 우리가 우리말로 살았으면 좋겠어
토박이말은 살아 있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질량을 덩이로, 에너지를 힘으로
입씨름도 우리말로, 욕도 우스개도 우리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