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프롤로그 :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적 계보를 찾아서 = 14
여성통문, 기억의 터를 찾아서 = 16

II. 근대사회의 여명과 용기있는 여성들의 등장 = 18

III. 한국 여성사, 격동의 120년 = 26
1. 여학교를 설립하다 = 28
“동양의 문명지국이 되고, 각국과 평등의 대접을 받게 하는 것”
2. 소통의 공간을 확장하다 = 52
“평생을 심규에 처하여 남의 절제만 받아리오”
3. 직업을 갖다 = 62
“후대함을 받음은 그 학문과 지식이 사나이와 못지 아니한고로 권리도 일반이니”

4. 주체로 서다 = 88
“각항 재주를 배워 일후에 여중 군자들이 되게 하올차로”

5. 한국여성, 세계와 만나다 = 106
“각각 개명한 신식을 준행할새”

IV 올랭프 드 구즈부터 후다 샤으라위까지 = 112
프랑스: 올랭프 드 구즈와 여성과 『여성시민의 권리선언』 = 114
영국: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서프러제트 = 116
독일: 루이스 오토 페터스와 『여성신문』 = 118
미국: 세네카폴즈 대회 『소견선언문』과 19세기 미국 여성운동 = 120
러시아: 콜론타이, 아르만드, 크룹스카야의 사회주의 여성운동 = 124
일본: 히라쓰카 라이초와 『세이토』 = 126
중국: 추근과 20세기의 여성운동 = 128
이집트: 까심 아민, 후다 샤으라위의 이집트 여성운동 = 130
베트남: 담푸엉과 여성운동 = 132

V. 에필로그: 82년생 김지영과 김소사, 이소사 = 134
현대미술에서 실과 바늘을 허하라: 어권통문과 자수 = 136

VI. 논고 = 142
여권통문 선언 장소의 발굴에 대한 역사적 의의와 현재성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