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도입
01/한국어교육학의 기초
1. 한국어교육학
1.1. 모어와 제2언어
1.2. 언어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1.3. 한국어교육학의 세부 영역
1.4. 한국어교육학과 인접 학문

제2부 한국어교육의 내용 교수학
02/발음 교육론
1. 한국어의 음운과 음절
1.1. 한국어의 모음
1.2. 한국어의 자음
1.3. 초분절음소
1.4. 한국어의 음절
2. 한국어의 음운현상
2.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2. 겹받침의 발음
2.3. 연음
2.4. 음운의 동화
3. 발음 교육의 방법
3.1. 발음 교수에 대한 접근
3.2. 발음 교수의 기본 원리
3.3. 발음 교육의 절차
3.4. 발음 교육과 교실 활동

03/어휘 교육론
1. 한국어 어휘의 특성
2. 언어 교수에서의 어휘
2.1. 어휘소와 어휘
2.2. 어휘 능력
3. 한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3.1. 교육용 기본 어휘
3.2. 어휘 선정의 원리
4. 어휘 교수 내용
4.1. 단어 형성법에 따른 어휘 교수
4.2. 어휘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 교수
4.3. 어휘군별 어휘 교수
4.4. 구로 나타나는 어휘 교수
4.5. 어휘 학습에 있어서의 대조 분석
5. 어휘 교수 방안
5.1. 어휘 제시 방안
5.2. 어휘 제시에 있어서의 고려 사항
5.3. 암기하기와 확인
5.4. 통합적 어휘 학습 전략
6. 어휘 교수와 교실 활동
6.1. 과제 활동
6.2. 어휘 게임

04/한국어 문법 교육론
1. 한국어 교육 문법
1.1. 교육 문법
1.2. 의사소통 문법
2. 문법교육의 내용
2.1. 문법 단위와 표현 단위
2.2. 문법과 담화 기능
3. 문법 교수의 방법
3.1. 문법 교수의 원칙
3.2. 문법 교육의 원리
3.3. 문법 항목의 제시 순서
4. 의사소통 교수에서의 문법 교육의 방법론
4.1. 과제 중심 교수
4.2. 형태 초점 교수
4.3. 담화 기반 교수
5. 문법 교수의 방안과 교실 활동
5.1. 문법 교육의 방법
5.2. 문법 연습의 유형
5.3. 문법 설명과 교실 활동
5.4. 숙달도별 문법 교수

05/문화 교육론
1. 언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
1.1. 의사소통의 적절성에 대한 학습
1.2. 언어 교수와의 연계
2. 언어 교수에서의 문화의 세부 유형
3. 문화 교육의 내용
3.1.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3.2. 문화 교육과정
3.3. 숙달도별 문화 교수요목
3.4 학습자별 문화 교육
4. 문화 교육의 목표 및 항목 선정
4.1. 문화 교육의 목표
4.2. 문화 교육 내용 선정의 준거
5. 문화 교육의 방법
5.1. 언어 교수와의 연계 학습
5.2. 문화 교육 방법
5.3. 교실 활동

제3부 한국어교육의 기능 교수학
06/말하기 교육론
1. 말하기 교육의 정의 및 역사적 변천
1.1. 말하기 교육의 정의 및 내용
1.2. 언어 교수법의 변천에 따른 말하기 교육
2.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쟁점 및 기반
2.1. 구어로서의 말하기 교육의 쟁점
2.2. 말뭉치 언어학 및 대화 분석
3. 말하기 과정과 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1. 말하기 과정과 말하기 능력
3.2. 말하기 유창성의 조건
4. 말하기 교수 방안과 교실 활동
4.1. 정보차 활동
4.2. 직소 활동
4.3. 말하기 교실 활동

07/듣기 교육론
1. 듣기 교육의 정의 및 역사적 변천
1.1. 듣기 교육의 정의와 듣기 능력의 발달
1.2. 언어 교수법의 변천에 따른 듣기 교육
2. 듣기 교육의 이론 및 원리
2.1. 듣기 과정에 대한 이해
2.2. 듣기 과정 모형
2.3. 듣기 이해와 관련된 언어 지식
3. 듣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
3.1. 듣기 기술과 전략
3.2. 듣기를 위한 질문
4. 듣기 교수 방안과 교실 활동
4.1. 일방향적 듣기
4.2. 양방향적 듣기

08/읽기 교육론
1. 제2언어 읽기와 모어 읽기의 차이
2. 읽기 교육의 역사적 변천 및 읽기 이해 모형
2.1. 상향식 모형과 하향식 모형
2.2. 하위 단계 처리 과정과 상위 단계 처리 과정
3. 읽기 방법 및 전략
3.1. 읽기 방법
3.2. 읽기 전략
4. 읽기 교수 방안과 교실 활동
4.1. 단어 인식 기술을 촉진하기
4.2. 풍부한 인식 어휘 구축하기
4.3. 이해 기술을 연습하기
4.4. 담화 구조에 대한 의식 구축하기
4.4. 전략적인 읽기 촉진하기
4.5. 읽기 유창성 연습하기
4.6. 확장적 읽기 촉진하기
4.7. 읽기 동기 촉진하기

09/쓰기 교육론
1. 쓰기 교육의 역사적 변천
1.1. 텍스트 지향 쓰기 교육
1.2. 필자 지향 쓰기 교육
1.3. 독자 지향 쓰기 교육
2. 제2언어 쓰기 교수의 이론적 배경
2.1. 언어 구조 중심의 쓰기
2.2. 텍스트의 기능 중심의 쓰기
2.3. 창의적 표현 중심의 쓰기
2.4. 과정 중심의 쓰기
2.5. 내용 중심의 쓰기
2.6. 장르 중심의 쓰기
3. 쓰기 피드백
3.1. 교사의 서면 피드백 유형
3.2. 교사 피드백의 내용
3.3. 교사?학생 면담
3.4. 동료 피드백
4. 쓰기 교수 방안과 교실 활동
4.1. 쓰기 전 활동
4.2. 쓰기 활동
4.3. 언어 교재에 나타난 쓰기 활동 및 과제의 유형

제4부 한국어 교재 및 교육과정
10/한국어 교육과정론
1. 교육과정 개발
1.1. 교육과정의 설계
1.2.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1.3. 교육과정의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1.4.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2. 교수요목 설계
2.1. 교수요목의 구성 요소
2.2. 교수요목에 대한 접근법
2.3. 교수요목의 설계의 과정 및 절차
3. 개별 교수요목의 특성
3.1. 상황 중심 교수요목
3.2. 문법 교수요목
3.3.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
3.4. 과정 중심 교수요목
3.5. 절차 중심 교수요목
3.6. 과제 중심 교수요목
3.7. 내용 중심 교수요목
4. 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제
4.1. 국외 언어 교육과정
4.2.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11/한국어 평가론
1. 평가의 개념 및 유형
1.1. 평가의 정의와 개념
1.2. 평가의 기능
1.3. 평가의 유형 및 종류
2. 평가의 원리 및 요건
2.1. 신뢰도
2.2. 타당도
2.3. 실용도
2.4. 환류효과
3. 언어 평가의 내용과 유형
3.1. 언어 능력 평가의 역사적 변천과 평가 내용
3.2. 언어 기능별 평가 유형과 쟁점
4. 한국어능력시험의 실례
4.1. 한국어능력시험의 발전 과정
4.2. 시험 구성 체계
4.3. 등급별 평가 기준과 목표

12/한국어 교재론
1. 언어 교육에서의 교재의 개념과 역할
2. 한국어 교재의 역사 및 현황
3.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재
3.1. 한국어 교육 과정에 따른 교재
3.2. 교재의 유형과 분류
4. 교재 개발의 단계
4.1. 교육과정 확인
4.2. 교수요목 확정
4.3. 단원 구성의 방법 및 구체화
5. 교재 선택 및 개작
5.1. 교재 선택의 체크리스트
5.2. 교재의 개작

13/한국어 교수법
1. 언어 교수법의 역사적 변천
1.1. 청각구두법
1.2. 인지 학습 이론에 근거한 언어 교수법
1.3. 의사소통 교수법으로의 전환
1.4. 의사소통 상황으로서의 과제 기반 교수
2. 교수 방법 선택의 쟁점
2.1.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
2.2. 귀납적 제시와 연역적 제시
3. 한국어 교수법에 적용한 몇 가지 언어 교수법의 절차
3.1. 문법 번역식 교수법
3.2. 직접 교수법
3.3. 청각구두법
3.4. 침묵식 교수법
3.5. 집단 언어 교수법
3.6. 암시 교수법
3.7. 전신 반응 교수법
3.8. 의사소통 교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