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 19
1. 언어 규범과 예절 = 21
2. 언어 규범과 예절의 필요성 = 22
3. 한국어 규범과 예절의 내용 = 23
4. 한국어 규범과 예절의 변천 = 25
1) 한글 맞춤법의 변천 = 34
2) 표준어 규정의 변천 = 36
3)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 37
4)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 = 37
5) 표준 언어 예절의 변천 = 38
Ⅱ. 한글 맞춤법 = 45
제1장 총칙 = 47
해설 = 47
질문과 대답 = 53
제2장 자모 = 55
해설 = 56
질문과 대답 = 59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 60
제1절 된소리 = 60
제2절 구개음화 = 63
제3절 ''ㄷ'' 소리 받침 = 65
제4절 모음 = 66
제5절 두음법칙 = 69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 75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 77
제1절 체언과 조사 = 77
제2절 어간과 어미 = 80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 95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 106
제5절 준말 = 113
제5장 띄어쓰기 = 124
제1절 조사 = 124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 125
제3절 보조 용언 = 129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 131
제6장 그 밖의 것 = 135
해설 (1) = 135
해설 (2) = 137
해설 (3) = 138
해설 (4) = 139
해설 (5) = 143
질문과 대답 = 146
[부록] 문장 부호 = 149
해설 (5) = 149
1. 마침표 = 150
2. 물음표 = 151
3. 느낌표 = 152
4. 쉼표 = 154
5. 가운뎃점 = 157
6. 쌍점 = 158
7. 빗금 = 159
8. 큰따옴표 = 160
9. 작은따옴표 = 161
10. 소괄호 = 162
11. 중괄호 = 163
12. 대괄호 = 163
13. 겹낫표와 겹화살괄호 = 164
14. 홑낫표와 홑화살괄호 = 165
15. 줄표 = 166
16. 붙임표 = 166
17. 물결표 = 166
18. 드러냄표와 밑줄 = 168
19. 숨김표 = 168
20. 빠짐표 = 169
21. 줄임표 = 169
Ⅲ. 표준어 규정 = 173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 175
제1장 총칙 = 175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 179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 196
제2부 표준 발음법 = 216
제1장 총칙 = 216
제2장 자음과 모음 = 217
제3장 음의 길이 = 220
제4장 받침의 발음 = 223
제5장 음의 동화 = 227
제6장 경음화 = 231
제7장 음의 첨가 = 235
Ⅳ. 외래어 표기법 = 239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 241
해설 = 241
질문과 대답 = 245
제2장 표기 일람표 = 250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250
[표 2]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1
[표 3] 이탈이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2
[표 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 253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 254
[표 6]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6
[표 7]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7
[표 8]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8
[표 9]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59
[표 10]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0
[표 11]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1
[표 12]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3
[표 13]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5
[표 14] 말레이인도네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7
[표 15] 타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68
[표 16] 베트남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70
[표 17] 포르투갈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71
[표 18] 네덜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72
[표 19] 러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273
제3장 표기 세칙 = 275
제1절 영어의 표기 = 275
제2절 독일어의 표기 = 278
제3절 프랑스 어의 표기 = 279
제4절 에스파냐 어의 표기 = 281
제5절 이탈이아 어의 표기 = 282
제6절 일본어의 표기 = 283
제7절 중국어의 표기 = 283
제8절 폴란드 어의 표기 = 284
제9절 체코 어의 표기 = 285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 어의 표기 = 286
제11절 루마니아 어의 표기 = 287
제12절 헝가리 어의 표기 = 288
제13절 스웨덴 어의 표기 = 289
제14절 노르웨이 어의 표기 = 291
제15절 덴마트의 표기 = 294
제16절 말레이인도네시아 어의 표기 = 296
제17절 타이 어의 표기 = 298
제18절 베트남 어의 표기 = 300
제19절 포르투갈 어의 표기 = 300
제20절 네덜란드 어의 표기 = 303
제21절 러시아 어의 표기 = 306
제4장 인명ㆍ지명의 표기 원칙 = 311
제1절 표기 원칙 = 311
제2절 도양의 인명, 지명 표기 = 311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 312
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315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 317
해설 = 317
제2장 표기 일람 = 320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 322
질문과 대답 = 324
제4장 도로명의 표기 원칙 = 325
해설 = 325
표기 원칙 = 326
유형별 표기법 = 327
질문과 대답 = 332
Ⅵ. 표준 언어 예절 = 333
해설 = 335
1. 가정에서의 호칭, 지칭 = 337
해설 = 337
1) 부모와 자녀 사이 = 342
2)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 = 345
3) 처부모와 사위 사이 = 347
4) 남편에 대하여 = 350
5) 아내에 대하여 = 351
6)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 353
7)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 360
8)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 363
9) 조부모와 손주 사이 = 367
10) 숙질 사이 = 371
11) 사촌에 대하여 = 377
12) 사돈 사이 = 379
2. 사회에서의 호칭, 지칭 = 382
해설 = 382
13) 직장 사람들과 그 가족에 대하여 = 383
14) 지인에 대하여 = 388
15) 직원과 손님 사이 = 394
3. 경어법 = 396
해설 = 396
16) 가정에서 = 399
17) 직장, 사회에서 = 401
4. 일상생활의 인사말 = 403
해설 = 403
18) 아침, 저녁의 인사말 = 404
19) 만나고 헤어질 때의 인사말 = 405
20) 전화 예절 = 408
21) 소개할 때 = 414
5. 특정한 때의 인사말 = 417
22) 연말연시 = 417
23) 생일 축하 = 418
24) 축하, 위로 = 420
25) 문상 = 422
26) 건배할 때 = 423
6. 서식 = 424
해설 = 424
27) 편지와 전자 우편 = 425
28) 연하장 = 429
29) 결혼 청첩장 = 430
30) 결혼 축하 = 432
31) 결혼 축하에 대한 감사장 = 433
32) 부고 = 434
33) 조위 = 436
34) 조장과 조전 = 437
35) 조위에 대한 감사장 = 438
36) 생일 축하 = 438
37) 출산 축하 = 439
38) 정년퇴임 축하 = 440
39) 문병 = 440
참고 문헌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