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서론 = 11
1 기호
1.1 개념의 위기 = 37
1.2 완고함의 기호들 = 38
1.3 내포와 외연 = 44
1.4 미봉책 = 45
1.5 언어 기호의 해체 = 49
1.6 기호 대 단어 = 61
1.7 스토아학파 = 67
1.8 이론들의 통합과 언어학의 우세 = 73
1.9 지침적 모델 = 76
1.10 강한 코드와 약한 코드 = 78
1.11 가추법과 기호의 추론적 본질 = 83
1.12 해석 가능성의 기준 = 91
1.13 기호와 주체 = 94
2 사전 대 백과사전
2.1 포르피리오스의 귀환 = 97
2.2 포르피리오스 수형도에 대한 비판 = 117
2.3 백과사전 = 137
3 은유
3.1 은유의 핵 = 169
3.2 전통적인 정의 = 174
3.3 아리스토텔레스: 제유와 포르피리오스 수형도 = 176
3.4 아리스토텔레스: 세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은유들 = 178
3.5 아리스토텔레스: 비례 도식 = 182
3.6 비례와 응축 = 185
3.7 사전과 백과사전 = 187
3.8 인지적 기능 = 191
3.9 기호적 배경: 내용의 체계 = 198
3.10 형식화의 한계 = 208
3.11 성분 의미론적 표상과 텍스트의 화용론 = 215
3.12 결론들 = 240
4 상징
4.1 유와 종 = 251
4.2 용이한 비례 관계에 의한 표현 = 255
4.3 난해한 비례 관계에 의해 생산되는 표현 = 258
4.4 상징적 방식 = 268
4.5 상징 방식의 기호학 = 289
4.6 결론 = 299
5 코드
5.1 새로운 범주의 부상 = 303
5.2 산사태 효과 = 306
5.3 코드와 커뮤니케이션 = 307
5.4 s-코드로서의 코드 = 311
5.5 암호학과 자연 언어 = 317
5.6 s-코드와 의미 작용 = 325
5.7 유전자 코드 = 334
5.8 잠정적인 결론을 향하여 = 338
6 동위소
6.1 계열체적 이접과 더불어 문장 안에서 이루어지는 담화적 동위소 = 351
6.2 통합체적 이접과 더불어 문장 안에서 이루어지는 담화적 동위소 = 353
6.3 계열체적 이접과 더불어 문장들 사이에 나타나는 담화적 동위소 = 354
6.4 통합체적 이접과 더불어 문장들 사이에 나타나는 담화적 동위소 = 356
6.5 서로 배타적인 이야기를 생성하는 동위소의 담화적 이접과 연계된 서술적 동위소 = 357
6.6 상보적 이야기를 생성하는 동위소의 담화적 이접과 연계된 서술적 동위소 = 360
6.7 각각의 경우에 상보적 이야기를 생성하는 담화적 동위소의 이접과 연계된 서술적 동위소 = 362
6.8 외연적 동위소 = 363
6.9 잠정적 결론 = 365
7 거울
7.1 거울 이미지는 기호인가? = 367
7.2 상상계와 상징계 = 369
7.3 거울 속으로 들어가기 = 370
7.4 거울의 현상학: 거울은 사물을 도치시키지 않는다 = 371
7.5 거울의 화용론 = 376
7.6 신체 보조 기구와 경로로서의 거울 = 378
7.7 절대적 도상 = 381
7.8 엄밀한 지칭소로서의 거울 = 384
7.9 기호에 대하여 = 387
7.10 왜 거울은 기호를 생산하지 않는가? = 392
7.11 변종: 왜곡된 상을 만드는 거울 = 394
7.12 반사 광학 이전의 연출 = 398
7.13 무지개와 파타 모르가나스 = 401
7.14 반사 광학 극장 = 403
7.15〈이미지〉를 결빙시키는 거울들 = 405
7.16 결정적 실험 = 411
참고 문헌 = 413
찾아보기 = 427
기호학 관련 용어표 = 432
옮긴이의 말 = 437
움베르토 에코 연보 =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