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의미연구의 동양학적 방법론 제기
제1장 국어의미연구의 자생적 방법론 모색 = 13
1.1 연구방법의 전통성과 정통성 계승 = 14
1.2 현대의미연구의 동양학적 분석론 개척 = 26
제2장 어휘의미의 동양적 분석패러다임 모색 = 35
2.1 단어의미형성의 유기체적 구조론 = 36
2.2 어휘의미의 홀론적 의미속성 = 58
제3장 문장의미의 동양적 분석패러다임 모색 = 81
3.1 문장의미 구성요소의 의미관계 = 82
3.2 문장의미형성의 인드라망적 해석 = 100
제4장 국어의미론의 역학적 방법론 모색 = 123
4.1 의미분석론의 역학적 유추 = 124
4.2 훈민정음 언어이론과 의미 분석 = 169
제2부 국어의미의 분석 실제
제5장 명사의 의미 분석 = 235
5.1 실체명사의 의미형질 분석 = 236
5.2 보통명사 외연의 의미성분 분석 = 259
제6장 합성어와 파생어의 의미 분석 = 287
6.1 합성어의 의미구성과 의미성분 분석 = 288
6.2 파생접사 ''-이''의 의미성분 분석 = 307
제7장 최석정의 十一音取象八卦圖와 Talmy의 동역학 비교 = 331
7.1 음양동정과 Force dynamic pattern = 332
7.2 역학적 모형과 동역학적 모형 = 349
제8장 의미와 존재 그리고 흑상 = 355
8.1 의미와 존재 = 356
8.2 의미와 흑상 = 384
〈참고문헌〉 = 408
〈찾아보기〉 = 419